지자체 축제 줄여 일자리 3만개 창출

입력 2010-03-04 18:58

5월까지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지방 축제 관련 경비 등을 줄인 돈으로 3만개 이상의 공공 일자리를 새로 만든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과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올해 최우선 국정 과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를 총력체제로 바꿀 방침이라고 보고했다.

대책에 따르면 지자체들이 일자리 추경으로 3600억원을 편성해 자전거 수리, 도시숲 조성, 생활형 자전거길 조성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7월부터 본격 시작되는 이 사업에는 청장년층을 우선 선발하고, 6월 말 종료되는 희망근로사업 참가자들을 흡수해 지역 고용시장의 충격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노동부 고용지원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149개 시·군·구에 연내 일자리센터를 설치, 취업 희망자들에게 접근성을 높이는 등 취업 상담 및 알선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읍·면·동 주민자치센터에는 기업 은퇴자와 직업상담사 등을 배치, 취약계층에 취업 상담을 해주는 등 주민자치센터를 취업 지원의 최일선 창구로 활용키로 했다.

국가 취업정보 전산망인 ‘워크넷’과 지자체가 운영 중인 취업정보 시스템을 연계하고, 중앙정부의 159개 일자리 사업 정보가 담겨 있는 ‘일모아 시스템’에 지자체 일자리 사업도 등록해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아울러 고용 우수기업 지방세 감면(50%) 제도를 6월까지 전국으로 확대하고 ‘고용 우수기업 인증제’를 도입해 자금 지원, 물품 우선구매 등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