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협’ 성과 없을땐 국민투표 강행?… 한, 세종시 6인 협의체 주중 발족키로
입력 2010-03-03 22:20
여당이 이르면 금주 중 세종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중진협의체(중진협)를 발족키로 했다. 친박근혜계도 참여키로 했지만, 수정안 반대 입장이 워낙 확고해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협의체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면 언제든 국민투표 카드가 동원될 가능성도 있다.
한나라당은 3일 최고위원회를 열어 3선 이상 의원 6명으로 중진협을 구성키로 결의했다. 원안 찬성, 수정안 찬성, 중립 성향 각 2명씩이 참여하며 이달 말까지 결과물을 내놓을 계획이다. 친이계에서는 고흥길 최병국 의원이, 친박계는 박종근 이해봉 김영선 의원 가운데 2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절충안을 낸 김무성 의원은 중립파 몫으로 거론되고 있다.
중진협은 지난달 5일간의 의원총회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모임이지만, 딱히 묘안이 없어 험로가 예상된다. 당 주변에서는 벌써부터 “일단 파국은 피하고 보자는 ‘연명치료’ 차원 아니겠느냐”는 얘기가 나돈다.
중진협이 절충에 성공하려면 당내 양대 계파가 일정 부분 양보해야 하지만, 입장차는 여전히 현격하다. 친이계는 수정안을 내놓게 된 근본 취지인 행정 비효율이 최소화되는 절충안을, 친박계는 부처 이전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원안이 훼손되지 않는 중재안을 원한다.
마치 ‘사각형 같은 동그라미’를 그려야 하는 형국으로, 계파 간 이견은 최고위원회 직전에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친박계 이경재 의원은 “의총에서도 결론 못낸 사안을 중진협에서 결론 내릴 수 있다고 100% 믿는 국민이 없다”며 “중진협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아니다”고 단언했다. 이에 친이계 이윤성 국회부의장은 “과정을 밟기도 전에 미리 찬물을 끼얹어선 안 된다”고 반박했다.
결과물 도출이 지지부진할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투표를 정식으로 꺼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대통령도 전날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현재는’ 이라는 단서를 붙여 국민투표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언젠가는 검토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특히 최근 며칠간의 국민투표 파동을 통해 이 대통령의 세종시 수정 의지가 매우 확고하다는 게 거듭 확인된 만큼, 중진협 결과가 시원치 않을 땐 여권 주류가 당론 채택 및 국민투표 강행이라는 최후 수단에 의지할 여지가 있다.
한나라당 중립 성향인 나경원 의원은 라디오 방송에서 “중진협에서 제대로 안 된다면 국민투표가 하나의 해결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도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린 연세대 국제캠퍼스 개교식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를 만나 “국민투표밖에 방법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국민투표 논란이 잦아들지 않자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현재도 미래에도 국민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손병호 노용택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