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원평가제 安着을 고대한다
입력 2010-03-02 19:13
교원평가제가 어제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전국 1만1000여곳 초중고 교사 41만여명을 상대로 한 동료 교사와 학부모, 학생의 평가가 이뤄지는 것이다.
제도가 가져올 파급력은 만만치 않을 듯하다. 무엇보다 학부모와 학생들이 직접 평가에 참여함으로써 교원들의 긴장감이 높아질 것이 기대된다. 이는 교사들이 수업 준비와 진행, 학생 지도 등에 더욱 분발토록 해 공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반쪽 평가제’가 되리란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평가 결과가 인사와 보수에 연계되지 않는 탓이다. 차후 보완돼야 할 부분임이 분명하다. 교사 간 평가도 부실해질 수 있다.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여서 동료 간 평가가 온정주의로 인한 점수 부풀리기로 흐를 가능성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참여도 선뜻 실효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아직 판단력이 미성숙한 학생들은 교사의 자질과 교수 능력이 아닌 그들만의 ‘포퓰리즘적’ 잣대로 교사들을 평가할 수 있다. 학교 사정에 밝지 못한 학부모들이 교사나 교장, 교감을 얼마나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그렇다고 제도의 부정적 측면이 너무 강조돼선 안 된다. 모든 제도가 그렇듯 도입 초기엔 이런 저런 혼란과 미흡함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또 단기간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도 어렵다. 지금으로선 제도가 전면 시행된 것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미비점들은 점차 개선해 나가면 되리라 본다.
교원평가제의 안착을 위해선 학부모와 교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학부모들은 교사뿐 아니라 교장, 교감도 평가할 수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당국은 공개수업 확대와 학부모 연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부모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교원들도 평가를 두려워해선 안 된다. 평가를 받는 것은 괴로운 일이지만 교육 공급자가 교육 소비자로부터 평가받는 것은 당연하고 선진국에선 보편화돼 있다. 교원들은 이 제도를 자신들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실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계기로 선용할 수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