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인터넷 검열 반발 사태, 구글 다음은 아마존·MS?… NYT “美 업체들에 영향”
입력 2010-03-02 18:07
세계 최대 인터넷 서점 아마존의 중국 서비스에서는 검색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숙청된 자오쯔양(趙紫陽)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검색이 안 된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도 위험한 ‘분리주의자’로 묘사한 책 목록만 찾을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은 올 초 구글과 중국 정부 간 갈등으로 야기된 인터넷 검열 문제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중국에서 활동 중인 미국 업체들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2일 보도했다.
그동안 인터넷 업체들은 ‘그 나라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여 왔다. 아마존의 미국 본사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과 관련, “해당 국가의 법률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는 입장이다. 스티브 발머 MS 회장도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사업의 지속을 내세워 중국 법을 존중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구글이 중국 정부의 검열에 강력히 반발한 마당에 다른 업체들이 예전처럼 ‘현지 제도 존중’을 핑계로 인터넷 검열에 관대한 태도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네트워크이니셔티브(GNI)’에 동참하고 있는 인권단체들은 기업의 책임감 있는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GNI는 인터넷 업체와 인권단체, 투자자들이 2008년 설립한 단체로 정부가 인터넷상에서 표현의 자유와 정보 접근권을 억압할 경우 이에 맞서 사용자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데 원칙을 두고 있다. MS, 구글 등도 GNI 참여 기업이다.
휴먼라이츠워치(HRW)의 아르빈드 가네산 국장은 “기업들이 ‘이게 아니다’ 싶으면 발을 빼고 보는 태도로는 중국 이란 등의 나라에서 인터넷 자유를 실현하는 건 어려울 것”이라며 “기업들이 현지 정부의 규제에 맞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