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텃밭 경선 한숨… 호남 시민공천배심원제 시끌

입력 2010-03-01 18:23

‘6·2 지방선거’가 3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출마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과 일정에 대한 당내 교통정리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텃밭인 광주·호남 지역의 후보 경선 방식이다. 지도부는 밀실공천, 동원경선 방지 등의 명분을 내건 시민공천배심원제를 전체 선거구의 30%까지 도입키로 확정하고 광주시장 선거에 적용하는 것을 검토해 왔다. 전문가 100명과 시민 100명 등 200명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예비후보자들을 심사한 뒤 투표를 통해 최종 후보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정치 신인에게 공정한 경쟁 기회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크다고 지도부는 강조했다.

하지만 비주류와 호남지역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시민공천배심원제는 중앙당을 장악하고 있는 정세균 대표와 친노, 386 등 당권파들이 공천을 독식하겠다는 ‘사심’이 개입됐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또 당 공천심사위원회가 공천 심사에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현역 단체장 평가를 반영하겠다고 나서자 ‘호남 물갈이론’도 덩달아 확산됐다.

상황이 이러하자 지도부는 광주시장 경선 등에 시민공천배심원제를 1차 예선전 형태의 ‘컷오프’ 방식으로 적용하는 것과 컷오프 없이 본선을 ‘시민공천배심원제+여론조사+당원투표의 혼합형’으로 치르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한발 물러섰다.

경선 일정에 대한 이견도 크다. 당 공천심사위원회는 3월 27일 광주를 시작으로 매주 순차적으로 호남과 제주, 충청, 영남 등에서 경선을 진행한 뒤 4월 24일쯤 서울에서 마지막으로 광역단체장 후보를 확정한다는 잠정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광주에서는 “3월에 경선을 치르게 되면 4월 2일부터 가능한 언론사 주최 예비 후보자 초청 토론회를 할 수 없게 된다”며 4월 중순 경선을 주장했다.

하지만 한나라당 소속의 현역 단체장이 있는 수도권의 경우 민주당 후보를 하루라도 빨리 뽑아 얼굴을 알리는 게 중요하다며, 경선 일정을 3월로 앞당겨 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