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통합 과정도 통합적이어야
입력 2010-03-01 21:22
이명박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가장 강조한 점이 국민통합이다. 이념과 계층과 종교의 차이를 뛰어넘어 온 국민이 일제(日帝)의 폭압에 항거함으로써 대한민국 건립의 뿌리가 된 3·1 운동의 화합정신을 계승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생각은 존중하되, 작은 차이를 넘어 커다란 조화를 이뤄야 선진일류국가로의 도약이 가능하다는 것 역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국민들이 갈가리 찢겨져 반목과 질시를 일삼는다면 어떻게 급변하는 국제환경에 대처할 수 있겠는가.
국민통합이라는 이 대통령의 3·1절 메시지는 세종시 문제와 연관돼 있다. 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세종시’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지금 우리가 국가백년대계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다”며 세종시 문제를 에둘러 언급했다. 그러면서 “숱한 대립과 분열을 긍정적 에너지로 승화시켜온 만큼 (세종시 문제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를 둘러싼 논쟁으로 각계각층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 원만히 해결되기를 기대하는 대통령의 심정이 읽힌다.
세종시 갈등을 국민통합의 원동력으로 발전시키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으려면 해법을 도출하는 과정 역시 통합의 원칙에서 벗어나면 안 될 것이다. 이 대통령의 언급대로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생산적인 실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지난해 9월부터 세종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2월 임시국회가 오늘 끝나고 곧바로 3월 국회가 소집될 전망이다. 세종시 수정안을 관철시키려는 여권 주류와 원안이나 원안+알파를 고수하는 여권 비주류 및 야당 모두 팽팽한 힘겨루기를 멈추고,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적극 모색할 때가 됐다. 자신만 옳다는 독선을 버리고 정치권에서 제시된 각종 절충안을 토대로 논의해나가면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는 일이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가 “적절한 시기에 대통령이 세종시 문제에 대해 중대결단을 내릴 수도 있다”고 말한 것은 돌파구 마련에 별 도움이 안 된다. 상대를 자극할 소지가 있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이 특정지역에 대한 막말논란에 휩싸인 것도 유감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