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교조가 박수받을 길이 있다
입력 2010-03-01 17:4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내에 위기의식이 팽배한 것 같다. 전교조는 지난달 27일 충북 단양에서 열린 제59차 정기 대의원대회 자료집에서 “2003년 12월 9만3860명까지 확대됐던 조합원이 2009년 12월 현재 7만2972명까지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6년 동안 조합원이 무려 2만888명 감소한 것이다.
수치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전교조의 활동 위축은 학교 현장에서 생생히 감지된다. 지회와 분회 활동이 약화되면서 전국 275개 지회장 선거에선 지회장을 뽑지 못하는 현상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현재도 100개 안팎의 지회가 지회장을 선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분회도 마찬가지다.
이처럼 존속까지 걱정해야 할 정도가 돼버린 전교조를 바라보는 마음은 착잡하다. 1989년 결성된 전교조는 활동 초기 신선한 바람을 몰고와 교사와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 만연했던 사학 재단과 학교장의 부정과 비리, 전횡과 월권을 과감히 폭로하고 촌지 거부운동을 벌이는 등 학내 민주화와 자정에 적잖이 기여했기 때문이다.
이랬던 전교조가 존속을 걱정할 정도로 궁지에 몰린 것은 자업자득의 측면이 강하다. 애초 교육민주화와 참교육을 지향하던 노선이 정치투쟁으로 흘러버린 것이 잘못이었다. 여기다 민노총 간부의 전교조 여교사 성폭행 사건, 교원평가제에 대한 경직된 태도 등도 대내외적 신뢰를 추락하게 한 원인이었다.
전교조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오는 5월 15일 스승의 날에 ‘전교조 죽이기 중단 10만 교사 선언’을 추진할 모양이다. 이를 통해 현 정부의 ‘전교조 죽이기’를 규탄하고 전교조에 대한 사회적 지지 확보와 연대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위기를 타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전교조의 위기 극복은 무엇보다 기존 노선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지금처럼 정치투쟁에만 몰두해선 국민과 교사의 지지를 끌어내기 어렵다. 전교조가 초심으로만 돌아가면 얼마든지 할 일이 있다. 곪을 대로 곪은 교육 현장의 부정과 비리만 전교조가 감시, 견제할 수 있어도 국민의 박수를 받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