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세종시 장기 표류땐 중대결단”… 혹시 국민투표?
입력 2010-02-28 21:16
이명박 대통령은 세종시 수정안 논의가 지지부진할 경우, ‘중대결단’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8일 기자들과 만나 “때가 되면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중대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대결단의 내용에 대해 “세종시 발전안이 되는 방향”이며 “절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이 대통령이 세종시 논의가 장기 표류할 경우 국민투표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해석이 나왔다.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 간, 여야 간 세종시 타협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국민투표로 논란을 종식하자는 것이다. 헌법 72조는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외교·국방·통일 기타 국가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을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수정안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반론이 강하다. 게다가 국민투표는 필연적으로 ‘이명박 정부 중간평가’로 이어진다. 경제 살리기, 교육개혁 등에 주력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3년차 국정운영 차질이 불가피하다. 이 대통령도 여러 차례 “국정현안에 세종시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해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국민투표는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 중대결단 발언은 너무 앞서나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대결단’은 이 대통령이 세종시 설득 작업에 직접 나설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다음주쯤 대전·충남 지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1월 11일)된 지 2개월 만이다. 이 대통령이 대전·충남 지역을 방문해 지역 민심을 직접 다독이는 한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및 정세균 민주당 대표,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 등과 담판을 검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6·2 지방선거 이후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핵심관계자는 “이 대통령의 개헌 발언은 소신”이라며 “6·2 지방선거 이후 원포인트 개헌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5일 한나라당 당직자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제한적 개헌론’ 의지를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분권형 대통령제 등 권력구조 변경 문제와 대통령 4년 중임제 등 임기 문제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핵심관계자는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경남지사 출마와 관련, “이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이 장관의 출마를 결심하지 않았다는 얘기이며, 이 장관 출마가 여전히 유동적이라는 의미다. 이 장관이 경남지사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공직사퇴기한인 4일까지 장관직을 사퇴해야 한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