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이르면 3월 중 재개”… 정부 고위 당국자, 北·美 추가 접촉 이후 시사

입력 2010-02-28 19:02

정부 고위 당국자는 27일(현지시간) 6자회담 재개 시기에 대해 “조만간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3, 4월 정도로 얘기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이 당국자는 워싱턴 주재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전제로 여러 얘기를 하고 있고, 미국도 그런 분석을 하고 있으며, 중국도 조기 개최 의지를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이 추가 북·미 접촉을 원한다면 6자회담 일환으로 해야 한다는 게 한·미 입장”이라며 “별도로 양자 접촉이 이뤄지는 걸 미국도 원치 않고, 한국도 반대한다. 중국도 양해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미 접촉은 그 전제하에서 진전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해 6자회담 재개 전 추가 북·미 접촉이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또 추가 접촉이 이뤄진다면 6자회담 재개가 전제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추가 북·미 회담을 통해 복귀 명분을 주고, 북한이 6자회담으로 돌아오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북한이 요구하는 평화협정 논의와 대북제재 해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북한과 한·미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그래서 다음달 안에 6자회담이 재개될지, 재개되더라도 진전된 비핵화 조치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2008년 12월(마지막 6자회담 시점) 상태로 단지 돌아가는 것만으로는 비핵화 진전으로 볼 수 없다는 게 미국의 확고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평화협정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비핵화의 일정한 조치에 대해 “지난 6자회담 때보다 더 진전된 조치여야 한다”고 못 박았다. 북한의 제재해제 요구에 대해선 “유엔 안보리 결의로 이뤄졌기 때문에 비핵화 진전이 있어야 하고 안보리 결의가 다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명환 외교부 장관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26일 워싱턴에서 한·미 장관급 전략대화를 가졌다. 북핵 문제와 관련, 대화와 제재를 병행하는 투트랙 기조를 유지하고, 일괄타결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합의했다. 클린턴 장관은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북한이 (6자)회담으로 돌아올 진전의 징후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