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고 ‘부정추천’ 합격 250명 달해
입력 2010-02-25 18:59
서울 13개高 대부분이 연루… 사회적배려 전형 10명중 7명 꼴
지난해 서울 지역 자율형사립고 입시에서 ‘부정 추천’으로 합격한 학생이 25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에서 학교장 추천서만으로도 합격이 가능한 정원이 388명인 만큼 10명 중 7명 가까이가 엉터리 추천으로 자율고에 합격한 셈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25일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에 응시할 수 없는데도 학교장 추천서를 받아 합격한 사례가 현재 250명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며 “관내 13개 자율고 대부분이 관련 의혹에 연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공식적으로는 “아직 부정 추천 학생 수는 확정된 바 없다”며 “자율고 학교장들과 신중히 협의해 선의의 학생들에 대한 피해를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자율고 교장들은 이날 오후 시교육청에서 긴급 교장단 모임을 갖고 후속 조치를 논의했다.
시교육청은 문제가 드러난 학생에 대해서는 우선 입학시킨 뒤 거주지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일반고로 강제 배정할 계획이며 26일 부정 추천 사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자율고가 위치한 다른 시·도 교육청 역시 서울처럼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을 악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있어 파문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특히 학부모들 상당수는 중학교가 자율고 부정 입학을 종용했다며 반발하고 있어 학교나 교육 당국을 상대로 소송이 이어지는 등 거센 후폭풍이 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처음 지정된 자율고는 서울 외에 부산에 2개교, 대구 광주 경기 충남 경북에 각각 1개교가 있다.
한편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전국 16개 시·도 교육감을 긴급 소집해 “좋은 의도로 만든 제도(자율고)를 악용한 교장과 책임자를 엄중 조치하고 학부모도 이를 악용하면 당연히 고발해야 한다”며 “부적격하게 입학한 학생은 다른 학교로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현재 시·도 교육청별로 벌이고 있는 자율고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 추천제, 추가 선발제 등의 개편안을 내놓기로 했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