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 긴축재정 반대 시위 몸살… 스페인·그리스 이어 포르투갈도 총파업 움직임
입력 2010-02-24 21:11
재정적자에 시달리는 남유럽국가들이 노동자들의 거센 시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노동자들은 정부의 긴축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유럽의 빚더미 국가를 일컫는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중 스페인과 그리스에서 23∼24일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데 이어 포르투갈에서도 내달 4일 총파업이 예고됐다.
가장 심각한 곳은 그리스다. 유럽의 시한폭탄으로 떠오른 그리스에서는 첫 파업이 있은 지 2주 만인 23일 24시간 총파업이 다시 진행됐다. 200만명 이상이 참여한 이번 파업으로 공항, 철도, 은행, 행정기관, 법원, 병원, 국영기업 등 나라 전체 기능이 거의 마비상태였다고 영국 BBC방송이 24일 보도했다. 지난해 10월 사회당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규모다. 이날 파업과 시위는 그리스 지원의 열쇠를 쥐고 있는 유럽집행위원회, 유럽중앙은행 관계자들이 그리스를 방문한 상황에서 일어났다. 그리스 정부에 추가 조치를 요구하고 있는 유럽연합(EU)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읽히는 대목이다. 하지만 EU 실사단과 면담한 그리스 정부는 재정적자 축소를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인에서도 23일 밤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등 주요 도시에서 재정적자 해소를 위한 연금개혁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주말엔 다른 도시로 확산될 것이라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정년을 65세에서 67세로 늘리는 연금개혁안뿐 아니라 지난해 4분기 19%(EU 내 2위)인 높은 실업률 등 악화일로의 경제 사정도 국민을 거리로 내몰고 있다.
포르투갈 공공부문 종사자들은 정부가 국내총생산(GDP)의 8.3%인 재정적자를 올해까지 1%로 줄이기 위해 공공부문 임금 동결을 추진키로 한 데 반발했다.
노동계의 입장은 지난해와는 사뭇 다르다. 지난해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음에도 시위는 격하지 않았다. 낮은 인플레가 공공부문 임금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덕분이었다. 하지만 내핍정책이 2010년 이후에도 지속될 거라는 암울한 전망이 퍼지면서 노동자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적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