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고 부정입학 의혹 최소 10곳
입력 2010-02-24 18:32
중산층 자녀 편법 추천·합격 사례 속속 불거져
올해 처음 문을 여는 자율형사립고를 둘러싼 부정 추천 의혹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관련 의혹에 연루된 학교 수가 최소 10곳에 달하고 있으며 경제적 형편이 좋은 집안의 자녀가 사회적배려대상자로 합격한 사례도 연일 불거지고 있다.
24일 서울시교육청과 교육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 지원 자격이 되지 않는데도 학교장 추천서를 써주거나 접수한 중학교와 자율고는 각각 5곳이다. 일부 자율고는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에서 정원이 미달되자 학생들을 상대로 사실상 편법 입학을 종용했다는 정황도 드러나고 있다.
한 자율고 재단 관계자 A씨는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 지원자가 정원에 크게 모자랄 경우 학교들은 편법을 동원해서라도 학생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A씨는 “우리 학교의 경우 해당 전형 정원이 80여명이었는데 지원자는 10여명에 불과했다”며 “70명 가까이 미달하는 사태가 빚어지면 학교는 엄청난 손해를 보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배려대상자 1명당 정부로부터 학비를 연간 450만원 정도 지원받는데 70명이면 1년에 3억원, 3년이면 10억원 가까이 못 받게 되는 셈”이라고 전했다.
중산층 자녀가 학교장 추천서만으로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을 통과한 사례도 확인됐다. 한 회사의 중견 간부라는 B씨는 “아이 성적이 자율고 진학에는 약간 부족한 상태여서 그냥 포기하고 있었는데 학교에서 먼저 연락을 해 미달된 자율고에 한번 지원해보라고 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25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전국 16개 시·도 교육감들을 긴급 소집해 교육 비리 근절을 위한 고강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