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어린이집 폐쇄 마찰… 강원여성정책개발센터, 주민들 출산장려 역행 반발

입력 2010-02-23 22:27

“아이를 낳고 키우는 환경을 만들어줘도 모자랄 판에 잘 운영되고 있는 공립 어린이집을 폐쇄하다니 공공기관이 이래도 되는 겁니까.”

23일 강원도에 따르면 여성정책개발센터는 1993년부터 운영해온 석사동 소재 영아 어린이집(옛 여성회관)을 이달 말 폐쇄하고 연구기능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 등이 범정부적인 출산장려 정책에 역행하는 처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어린이집 학부모들은 최근 어린이집 폐원 철회를 요구하는 춘천시민 2112명의 서명을 받아 도의회에 청원서를 제출한데 이어 강원도의회 교육사회위원회는 22일 제2차 회의에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채택, 본의회에 상정키로 했다.

센터측은 어린이 집을 폐쇄하더라도 대체할 수 있는 사설 보육시설이 많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군색한 변명을 해 주위를 어이없게 하고 있다.

공립 어린이집은 일반 보육시설보다 보육료가 10만원 이상 저렴한데다 유기농 식자재를 사용하는 등 지역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어왔다. 36명 정원에 순번을 기다리는 부모들만 매년 50∼60명에 달할 정도다.

2008년에는 시설을 전면 보수해 유아교육평가인증까지 받았지만 2년여 만에 운영을 중단해 예산만 낭비한 꼴이 됐다.

주부 박모(38·석사동)씨는 “정부와 지자체들이 출산장려와 보육정책에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강원도만 거꾸로 가고 있다”며 “도청 내에 곧 직장 보육시설이 생긴다는데 결국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설을 빼앗고 공무원 잇속만 챙기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춘천시민연대도 최근 성명을 내고 “도 여성정책개발센터는 시대에 역행하는 공립 어린이집 폐쇄를 즉각 중단하고 정상 운영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여성정책개발센터 관계자는 “도단위급 정책개발기관으로 바뀌어 춘천 시민만을 위한 일을 할 수 없었다”며 “연구와 양성평가 기능을 위해 직업교육 과정과 보육시설 폐쇄가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춘천=변영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