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당론변경 113명 맞출 수 있다”… 3월초 표결할 듯
입력 2010-02-24 00:14
여권 주류가 한나라당 세종시 수정안 당론 변경에 필요한 113명을 확보했으며, 다음달 초순쯤 당론 변경 절차를 마무리짓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3일 기자들과 만나 “계산을 해보니 당론 변경에 필요한 113명은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절충안 얘기가 나오는데 대해선 “박근혜 전 대표가 워낙 완강히 반대해 내용적 절충은 어렵지 않겠느냐”며 “그러나 당론 변경을 위한 무기명 투표, 소신 투표를 허용하는 것 등의 절차적 절충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만 표결 때 친박계가 전면 불참하게 되면 논란만 불러일으키고 무의미할 수 있다”며 “최대한 양 계파의 합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론 변경을 위한 재적의원(169명) 3분의 2인 113명을 확보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있는 가운데 청와대 관계자가 당론 변경 정족수를 채울 수 있다고 언급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한나라당은 재적 169명 중 친이계가 90∼100명, 친박계가 40∼50명, 중도파가 20∼30명으로 분포돼 있다.
당내 친이계도 당론 변경을 낙관하고 있다. 친이계 핵심 의원은 “수정안 찬성이 113명을 넘어 120명 정도 된다는 얘기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 중립파 의원 가운데 상당수가 22∼23일 세종시 토론을 위한 의원총회를 거치면서 당론 변경 쪽으로 마음을 굳히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 핵심 의원은 또 “숫자가 안 되면 무리하게 변경을 추진할 수 없는 것이고, 당론 변경이 안 된다고 하더라도 수정안 추진을 접을 수는 없고 다른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친이계 70여명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운영위 회의를 갖고 다음달 둘째주까지는 당론 변경을 끝낸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도부 역시 예상과 달리 의원총회가 질서 있게 치러졌고, 토론도 충분히 이뤄지고 있는 만큼 3월 초 당론 변경을 위한 표결에 나서도 문제될 게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친이계는 3월 초 당론이 변경되고 수정안이 국회에 제출돼도 친박계의 반발을 감안, 바로 상임위에 상정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친이계 핵심 의원은 “수정안 국회 처리 절차는 시간을 두고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처리가 늦어지면 6·2 지방선거에 마이너스라는 얘기가 있지만 세종시 논란 때문에 야당들이 뒷전으로 밀리고 4대강 시비도 잠잠해지는 등 꼭 나쁜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남도영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