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교육개혁 팔걷었다] 수능시험 근본적 재정립…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
입력 2010-02-22 19:11
이명박 대통령이 22일 전국에 방송된 라디오연설에서 밝힌 교육개혁의 핵심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과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이다. 수능은 시험의 성격과 횟수, 응시과목 등이 개편대상으로 검토 되고 있다. 수능 개편과 입학사정관제 확대 모두 사교육비 부담을 덜고 인성과 창의 교육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추진되고 있다.
수능 체제 개편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교과부 이주호 제1차관은 지난해 말 기자간담회에서 “2010년 교과부 업무계획의 첫 번째 추진 방향은 대학입시 자율화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수능 체제 개편이 꼭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를 통해 지난해 10월부터 대입선진화연구회를 구성, 중장기 수능 체제 개편안을 연구 중이며 다음달 중 시안을 내놓은 뒤 이를 토대로 6월 기본계획을 확정한다.
교과부가 현재 연구하고 있는 수능 개편안에는 수능시험의 근본 성격을 재정립하는 문제를 비롯해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응시 과목수를 줄이는 방안, 현재 연 1회인 수능시험 횟수를 2회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2011년부터 현재 학기당 10개 과목을 배우는 초등학교 5·6학년은 7개로, 10∼13개 과목을 공부하는 중·고생은 8개로 줄이기로 한 바 있다. 줄어드는 과목만큼 진로체험, 봉사, 동아리활동 등 창의적 체험활동을 강화해 폭넓은 인성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대학과 외국어고 입시에서의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도 과도한 사교육을 줄이고, 다양한 경험을 쌓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창의성뿐 아니라 인성도 기를 수 있다고 교과부는 판단하고 있다. 2010학년도 대입에선 97개교에서 모집인원의 6.5%인 2만622명이 입학사정관제로 선발됐고, 2011학년도 입시에선 118개교에서 모집인원의 10%인 3만7628명을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다. 외고 입시에서도 당장 올해부터 영어 내신과 면접으로만 학생을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제가 실시된다. 외고 입시에선 특히 독서 활동 항목이 신설됐다.
그러나 인성교육이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기본 방향인 ‘자율·경쟁’과 상충돼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반응도 만만치 않다. 엄민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현 정부 들어 무한 입시 경쟁을 부추기는 교육정책이 강화되고 있다”면서 “정부 정책 기조가 바뀌지 않는다면 학생들의 인성 교육은 물론 사교육비 경감도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