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교육개혁 팔걷었다] ‘대책회의’ 어떻게… 교육 수요자와 직접 현장소통
입력 2010-02-22 19:11
이명박 대통령이 매월 주재할 ‘교육개혁 대책회의’의 특징은 참석 범위에 있다.
정부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 총리실, 시도교육감협의회, 대교협 등이 참석하게 된다. 한나라당 정책위의장과 각종 교직 단체, 교육관련 연구기관장도 참여하며, 학부모와 교원, 기업관계자, 학생들도 회의에 참석한다.
한마디로 정부와 민간의 교육 관련 역량이 모두 집중되는 기구가 구성되는 셈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1월 2일 신년연설을 통해 비상경제정부 체제를 선포하면서 만든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연상케 한다는 것이 청와대 평가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2일 “교육과학기술부만으로는 제대로 된 교육정책을 실천하기 어렵다”며 “대통령이 직접 챙기면 그만큼 힘이 실리게 된다”고 말했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대책회의에는 당·정·청 관계자 외에도 교육 관계자, 필요할 경우 기업 관계자까지 같이 현장에 모인다”며 “교육 수요자 입장에서는 대통령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창이 마련됐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에도 진동섭 교육과학문화수석이 주관하고 각 수석실이 대부분 참여하는 ‘교육개혁추진 상황실’이 설치 운영되며, 교과부 내에는 안병만 장관 주재로 ‘교육개혁 현장 착근 지원 협의회’가 구성 운영된다.
일단 대책회의는 현장 중심으로 이뤄지게 된다. 첫 회의는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고교다양화 정책 중 하나인 마이스터고 개교식 현장 방문부터 시작된다. 대선 핵심 공약인 교육개혁이 집권 2년 동안 얼마나 제대로 진행됐는지를 중간 점검하는 의미도 크다는 설명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