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교육개혁’ 직접 나섰다… 2010년 주요 국정과제로 선정 매월 대책회의 주재

입력 2010-02-22 18:40


“학생 학부모 등 변화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

이명박(얼굴) 대통령이 22일 사교육비 축소와 입시위주 교육 관행 개혁 등의 교육 개혁을 진두지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육 개혁은 일자리 창출에 이어 올해 5대 국정과제 중 두 번째 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오전 라디오 및 인터넷 연설을 통해 “교육 개혁은 올해 우리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라며 “매월 ‘교육개혁 대책회의’를 열어서 학생과 학부모, 선생님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더 열심히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책임윤리나 도덕적 소양 같은 인성교육 또한 교육의 목표이자 교육자의 사명”이라며 교육자의 책임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3월 초 마이스터고 방문을 시작으로 매월 교육 관련 현장을 방문한 뒤 각 부처 공무원들과 교육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주재하게 된다. 대책회의는 관련 정부부처, 교육 연구기관, 교육단체 등 정책 생산자와 학생, 학부모, 기업 등 교육 수요자 모두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교육개혁 대책회의는 경제위기 상황 극복을 위해 가동됐던 비상경제 대책회의의 교육판이라고 보면 된다”며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교육 현안을 챙기고 보완책을 마련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책회의는 특히 상반기 중 대입제도 선진화와 학교 다양화, 교원제도 혁신, 대학교육 강화, 교육과정 혁신 등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하반기에는 상반기 발표된 과제들에 대한 점검과 함께 11월 G20정상회의 개최 등을 고려, 국격 향상 교육과제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진동섭 청와대 교육과학문화수석은 “지난 2년간은 교육개혁을 위한 기반을 닦는 기간이었다”며 “지금부터는 교육 개혁 정책들이 현장에서 착근되는 과정을 살피고, 과실들을 수확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책회의를 통해 3월 교원능력평가 전면 시행, 입학사정관제 확대 및 운영 방식 개선, EBS 강의 수능 연계 등의 사교육 경감 대책 등 각종 교육 현안들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