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멀어지는 親李·親朴 一戰 앞두고 내부결속

입력 2010-02-19 22:51


한나라당내 의원 모임들이 19일 세종시 토론회를 일제히 개최하며 내부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22일로 예정된 세종시 당론 변경을 위한 첫 의원총회를 앞두고 모임 내부 의견을 모으는 성격이 짙다.

친박계 의원 모임인 ‘선진사회연구포럼’에 참석한 의원들은 세종시 원안 수정은 절대 받아들이지 않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친박계 좌장이었던 김무성 의원의 절충안을 계파 차원에서 공식 거부한 셈이다. 현기환 의원은 김 의원이 전날 제시한 ‘7개 독립기관 세종시 이전’에 대해 “충청도민을 속이는 듯한 그런 방안은 세종시의 근본 취지에 어긋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조원진 의원은 한발 더 나아가 정부 수정안 철회, 정운찬 국무총리 퇴진, 대통령에게 부담을 끼친 청와대 참모 퇴진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의총 참석 여부를 놓고는 의견이 엇갈렸다. 모임 회장인 유정복 의원은 “당당하게 국민을 향해 원안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상기 의원은 “수정안이 상임위를 통과한 뒤 의총으로 가져올 것을 요구하고, 일단은 의총을 거부하자”고 반대했다. 토론회에는 친박계 의원 30여명이 참석했다.

초선의원 중심 모임인 ‘선진과 통합’에서는 다양한 해법이 모색됐다. 이 모임에는 친이, 친박계와 중립지대 의원들이 섞여 있다. 모임 간사인 이범래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의견 절충이 어렵다면 두 안을 객관적으로 비교해 정책적인 결론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석 의원들은 세종시 문제 해결을 위한 중진의원 협의체 구성을 당에 제안했으며, 당론 변경을 위해 조급하게 표결하지 말고 단일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결의했다.

한편 친이 측도 당론 변경 절차에 착수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세종시 문제는 이제부터 본격적 토론”이라며 “의총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열린 자세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토론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계파 갈등 확산을 막기 위한 당 원로와 중진들의 역할을 주문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