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부동산 거래 ‘행정도시’ 상황 따라 요동
입력 2010-02-18 22:29
대전의 부동산 거래가 행정도시 추진 상황에 따라 요동을 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표면화된 2002년 이후와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이 있었던 2004년 이후의 부동산 거래가 무려 2만여건 가까이 차이를 보였다.
18일 대전시가 2000년 1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최근 10년 동안 부동산 거래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토지의 경우 2000년 4만705건, 2001년 4만9282건이던 거래 건수는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표면화 된 2002년 6만3479건으로 급증했고 이듬해인 2003년 6만7014건으로 늘었다. 그러나 헌재의 위헌판결이 있었던 2004년 4만8802건으로 2만건 가까이 급감했다.
2005년 들어 행정중심복합도시법이 제정되자 다시 6만1000여건으로 늘어났으며 2006년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5만7000건으로 줄어든 뒤 2008년까지 4만여건을 유지하다 지난해 행정도시 수정 추진 등의 논란 속에 5만1000여건으로 소폭 상승했다. 하루 평균 146필지, 4만4064㎡에 62억원어치의 토지가 거래됐다.
주거용 건물의 경우 전체 거래 건수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지난해 81.1%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단독주택은 2004년 최고 20.9%에서 지난해 8.5%로 거래 비율이 계속 감소했다.
아파트는 하루 평균 80가구가량(연평균 2만9400가구)이 거래됐다. 최근 2년여 동안 경기침체 여파로 거래가 감소되다가 지난해 이후 빠르게 예년 수준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거래가 가장 활발한 시기는 새학기를 앞둔 1분기였다. 교육문제로 이사를 하는 가정이 많기 때문으로 대전시는 분석했다.
시 관계자는 “부동산은 시민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국가정책이나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지속적으로 부동산 동향을 제공해 시민과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