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판세 변수는?… 세종시 논란·정권심판론·남북정상회담

입력 2010-02-18 18:57

2006년 지방선거에선 한나라당이 완승했다.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은 이른바 ‘노무현 심판론’을 앞세워 16개 광역단체장 중 12곳을 싹쓸이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 피습사건은 선거 막판 판세를 흔들었다. 이번 6·2 지방선거에서는 세종시 문제를 비롯해 정권심판론, 남북정상회담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지역별 여론 흐름은 수도권은 찬성 여론이, 충청과 호남권은 반대 여론이 각각 높은 상황이다. 이 추세가 지속되면 수도권은 한나라당, 충청과 호남은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물론 충청권에서 수정안 찬성 여론이 높아지면 상황은 달라진다. 세종시 논란은 표심뿐 아니라 공천 및 선거운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를 둘러싼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 갈등은 지방선거 공천을 놓고 극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수도권에선 친이, 친박으로 나뉜 지역구 의원들이 구청장이나 시장 공천을 놓고 경쟁하는 곳이 있고, 영남에선 복당한 친박 의원들이 기초 의원 공천 등에서 지난 총선과 반대로 친이 성향 후보자에 대한 공천학살을 벌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세종시 문제가 의도대로 풀리지 않아 ‘선거의 여왕’으로 불리는 박 전 대표가 지원 유세에 나서지 않으면 한나라당엔 큰 악재다. 지난 총선에 이어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의 영남 선전 가능성과 박사모의 친이계 후보 낙선 운동이 이번 선거에서 재연될 가능성도 크다.

정권심판론도 여권 내홍과 세종시 특혜론에 따른 타 지역 역차별 논란이 확산될 경우 쉽게 먹힐 수 있다. 또 야권이 실업 등 민생문제를 지속적으로 부각시키고, 서울시장 후보 등에서 ‘반MB를 기치로 한 야권연대’를 성사시킬 경우 정권심판론은 힘을 얻게 된다. 여기에다 투표 9일 전인 5월 23일이 노 전 대통령 서거 1주기라는 점에서 추모열기가 선거 막판 표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2002년(김대중 정부 5년차)과 2006년(노무현 정부 4년차) 선거 때와 비교할 때 집권 3년차인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넘어서는 등 국민들의 정권에 대한 피로감이 덜하다는 점에서 심판론의 영향이 덜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최근 거론되고 있는 남북정상회담도 변수 중 하나다. 야권에선 “선거 전후인 5∼6월에 성사될 경우 선거 분위기 자체가 실종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하고 있다. 다만 2007년 정상회담이 그해 치러진 대선에 영향을 못 미쳤다는 학습효과 등을 감안할 때 큰 변수가 아니라는 의견도 많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