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름에 ‘정은’ 쓰지마”… 주민 대상 강제 改名 착수
입력 2010-02-17 21:07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내정된 3남 김정은과 이름이 같은 주민들에게 개명(改名)을 강요하고 있다고 자유북한방송이 17일 보도했다.
이 방송은 ‘함경남도 단천 통신원’의 전언을 인용, “각급 당위원회와 보안서, 주민등록기관들이 정은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개별적으로 불러 개명을 지시하고 있다”며 “단천에서도 이름이 정은인 주민 20∼30명이 개명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1974년 2월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내정됐을 때도 1∼2년 후 개명을 추진, 성(姓)과 이름이 똑같은 경우는 물론 성이 다른 ‘정일’이라는 이름까지 모두 바꾸도록 했다. 방송은 “북한에 김정일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한 명밖에 없는 것처럼 이제부터 정은이란 이름도 김정일 셋째 아들만 쓰게 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북한 노동당 내 전문부서가 종전 21개에서 18개로 통합·변경됐다. 통일부가 이날 발간한 ‘2010 북한권력기구도’에 따르면 각종 대남·해외 공작 업무를 하던 35호실과 작전부가 지난해 인민무력부의 정찰총국에 통합됐다. 김 위원장(당 총비서)의 통치자금을 담당하던 39호실과 38호실은 39호실로 흡수 통합됐다.
노동당 외곽단체 중 ‘남조선의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한 대책위원회’와 ‘남조선의 비전향장기수 구원대책조선위원회’, ‘대외경제협력추진위원회’는 지난 1∼2년 사이에 폐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 행정기관인 내각은 성급(부급) 기관이 총 37개에서 39개로 다소 늘어났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