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평생학습도시로 만든다… 공공기관 이전부지 3~4곳에 학습원 설립
입력 2010-02-16 22:13
서울시가 2014년까지 누구나 처지에 맞는 맞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생학습도시’로 거듭난다. 신설되는 평생학습원과 시민대학을 통해 시민 10명 가운데 4명이 평생교육을 받게 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평생교육 종합발전 5개년 계획’을 16일 발표했다.
시는 2014년까지 공공기관 이전부지 3∼4곳에 1만2000㎡ 규모의 ‘서울시민 평생학습원’(가칭)을 지을 방침이다. 평생학습원은 강의실 등 학습시설뿐 아니라 온라인방송과 정보시스템도 갖춰 정책 개발부터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통합기능을 갖게 된다.
서울시립대 부설 시민대학은 ‘서울시민평생학습대학’으로 탈바꿈한다. 현재 120명 수용 규모인 강의실 4개는 31개(1500명 수용)로, 강좌 수는 연간 77개에서 200개로 늘어나 연간 수강인원이 2500명에서 3만명으로 대폭 확대된다.
강의 내용도 교양강좌 위주인 현 체제에서 세무 생활법률 등 실생활과 밀접하고 직업교육으로도 안성맞춤인 분야 등으로 확대 개편된다.
25개 자치구는 대학 1곳씩을 ‘서울형 대학 평생교육원’으로 지정해 지역 주민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는 사이버 학습센터와 전화로 개인학습 컨설팅을 해주는 ‘학습콜센터’를 운영하고, 시내 평생학습기관과 단체 등의 위치와 주소를 담은 평생교육 정보망도 구축하기로 했다.
또 고교 졸업생의 취업을 지원하는 사회 초년생 스타트프로그램, 주부에게 직업훈련과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킹맘 프로그램, 다문화가정 국내 적응 프로그램 등 계층별 맞춤교육 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다.
시는 이를 통해 현재 29%인 서울시민의 평생교육 참여율을 2014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평균보다 높은 4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시민들이 교육비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복지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