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부동산시장 ‘강남 바람’에 기지개 켜나
입력 2010-02-16 18:41
봄철 재건축 시장에 이상 징후가 엿보인다.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 조치가 종료되면서 재건축 시장은 시중 부동자금의 블랙홀로 꼽힌다. 특히 주택시장의 흐름을 선도하는 서울 강남 재건축 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반면 신규 분양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
16일 오후 서울 개포2동 산 156번지 달터마을 입구. 지하철 분당선 구룡역 4번 출구에서 과수원길을 넘자마자 허름한 판자촌이 나타났다. 철조망으로 얼기설기 엮은 담벼락 사이로 거주자로 보이는 노인들이 이따금씩 지나다니고 있었다. 마을 너머 동남쪽으로는 우뚝 솟은 도곡동 타워팰리스가 한눈에 들어왔다.
이곳 달터마을이 최근 강남 재건축 시장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인근에 위치한 개포지구 개포주공 아파트 단지 재건축과 관련, 강남구청이 지난달 말 제시한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안’에 대해 서울시가 “인근의 무허가 판자촌 정비 방안을 마련하라”는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 이에 따라 아파트 노후도 및 안전진단 외에 달터마을의 시설 정비를 비롯한 이주대책 수립 여부가 재건축 추진 속도를 가름하는 변수가 된 것이다.
이를 두고 달터마을 거주자와 개포주공 아파트 소유자들 사이에서는 벌써부터 논란이 치열하다. 달터마을에서 10년 넘게 살아온 강모(55)씨는 “지구를 정비해서 영구임대주택이라도 마련해 준다면 지금보다 형편이 나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개포주공 1단지 건국부동산중개사 사무소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오랜 기간 끌어온 재건축 문제인데 판자촌 정비 문제가 불쑥 튀어나오면 사업추진 속도가 더뎌질 게 뻔하다”면서 “단지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이라고 말했다.
개포주공 외에도 주요 단지들의 재건축 추진과 관련된 발표가 잇따를 전망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안전진단 결과가 다음달 나올 예정이다. 또 잠실주공 5단지도 안전진단 신청과 관련된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이들 단지의 가격변동 가능성에 촉각이 곤두선 상태다. 특히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들 지방자치단체마다 관련 공약이 오르내릴 경우 재건축 시장이 요동칠 수도 있다.
하지만 안전진단 결과 등이 연기될 경우 보합세를 유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 조민이 리서치팀장은 “지난해 12월 이후 재건축 아파트 값이 이미 전 고점을 회복한 곳도 있는 상황에서 추격 매수세를 기대하기가 사실상 힘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양도세 감면조치 종료 이후 신규 분양시장은 냉랭하다. 인천시 구월동 인천시청 주변. 동보 우미 신명 한양 현대건설 등 10여개 건설사들의 모델하우스가 몰려 있지만 방문객은 손에 꼽을 정도로 한산했다. ‘중도금 전액무이자’ ‘계약금 10%→5%’ ‘계약금 1500만원 정액제’ 등. 건설사들마다 파격적 계약조건을 내세워 실수요자들을 유혹하고 있었다.
모델하우스 직원들은 관람객이 건물로 들어서자마자 2∼3명씩 관람객을 따라붙으며 분양 홍보에 열을 올렸다. 영종하늘도시 ‘한양수자인’ 아파트 잔여물량을 분양 중인 한양건설 관계자는 “양도세 감면 조치가 끝나면서 시장 분위기가 얼어붙을 것으로 어느 정도 예상했다”면서 “계약이 파기된 고층 물량이나 마감이 임박한 인기 평형대를 중심으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김태기 이승민 대학생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