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퇴로는 없다 - 朴, 수정은 없다… 세종시 어디로

입력 2010-02-13 05:06

‘강도론 논란’으로 맞붙었던 청와대와 박근혜 전 대표의 갈등이 일단 수면 밑으로 가라앉을 듯하다. 이명박 대통령이 12일 한나라당 당직자들과의 조찬 회동에서 ‘자제’를 당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봉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계기만 생기면 언제라도 ‘세종시 전투’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모두 확고한 소신에 따른 선택이며, 이를 변경할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13일 설 특별연설에서 세종시에 대한 ‘진의’를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어떤 길이 국민을 위한 길인지, 진정한 애국의 길인지 다같이 차분하게 생각해 봤으면 한다”며 “우리가 공동운명체라는 생각만 확고히 가진다면 색안경을 쓰고 보는 편견도 벗어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한 선진일류국가 기초, 국운 융성 등을 언급하며 “이것이 대통령으로서 제 존재 이유이자, 목표다. 저에게 무슨 다른 욕심이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호소했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이 결정을 하기 전에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지만 일단 결정한 것은 바꾸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측 중진 의원은 “박 전 대표가 국민과의 약속을 내세우며 한 발언을 바꿀 리 있겠느냐”고 말했다.

현재 청와대 참모들에게는 ‘출구전략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다.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세종시 수정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이유를 들어 출구전략을 말할 수 있는 참모가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타협의 여지가 없다 보니 전망도 쉽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전망’ 부분에 대해서는 입을 다문다. 박 전 대표 측도 비슷한 기류다. 친박계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의 ‘수정 소신론’은 불발에 그쳤다.

현실적으로 보면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통과가 어렵다. 친박 측 의원들이 박 전 대표의 뜻과 다른 선택을 하기도 쉽지 않고, 자유선진당이나 민주당이 이 대통령과 손을 잡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만나 해법을 만들어내는 것도 쉽지 않다. 오히려 이견만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이 포기할 리도 없고, 박 전 대표가 포기할 리도 없다. ‘절충안’은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모두 반대라고 한다.

결국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당분간 평행선을 따라 ‘제 갈 길’을 계속 걸어갈 것이란 결론이 나온다. 청와대는 일단 4월 임시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 처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되 처리하지 못하더라도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수정안 통과가 최선이고, 장기화는 차선이고, 포기는 없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 역시 세종시 문제에 정치적 명운을 건 듯하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