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투는 黨 “네탓이야”… 정치권 ‘강도론’ 여진

입력 2010-02-12 19:12

이명박 대통령의 ‘말꼬리 잡기식 싸움’ 자제 당부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에서는 여진이 계속됐다. 특히 친이계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해명을, 친박계는 청와대 참모들 경질을 거듭 요구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이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우리 모두가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대통령을 존중하는 풍토가 확립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친박계의 이 대통령에 대한 폄하성 발언 및 적대적 인식을 비판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친이계 홍준표 의원은 라디오 방송에서 “박 전 대표가 다소 과한 발언을 한데 대해선 해명하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박 전 대표 측이 ‘특정인을 지칭해 강도 발언을 한 게 아니다’고 했으니 그런 취지로 박 전 대표가 해명을 하는 게 좋다”며 “박 전 대표가 설마 대통령을 강도로 지칭했을 리 없다고 생각하지만, 만약 그랬다면 엄중하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친박계 홍사덕 의원은 “강도론은 세종시 법안과는 관련 없는 일종의 ‘접촉사고’로 어제 주호영 특임장관과 연락해 사안을 마무리짓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강도론과 별개로 세종시 수정을 추진하는 정부가 슬기롭지 못했다”며 “세종시를 추진한 청와대 참모진은 이 대통령으로부터 좀 떼놔야 된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또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을 오도한 참모와 대통령의 말씀자료를 작성해온 1급 참모 가운데 일부는 일선 행정부처로 한 계급 영전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대통령 주변에서 떨어지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서울역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이 대통령의 충북 발언은 누가 보더라도 세종시에 빗대 원안 고수를 주장하는 측에 더 이상 싸움을 걸지 말라고 요구한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며 “문제를 일으킨 쪽이 박근혜 전 대표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한편 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이 한나라당 신임 당직자와의 간담회에서 박 전 대표와의 만남 가능성을 시사한데 대해 특별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