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6자 복귀 조건 완화한 듯…회담 재개와 동시에 평화협정 논의 등 거론
입력 2010-02-12 19:13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위한 전제조건에 다소 유연한 입장을 보인 것으로 관측된다.
12일 베이징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을 방문 중인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6자회담 의장이자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특별대표와의 협상에서 기존 전제조건을 일부 완화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그동안 6자회담 재개 전제조건으로 대북제재 해제와 평화협정 체결을 고집했다. 이 소식통은 “김 부상 일행이 당초 예상보다 늦게까지 베이징에 머무는 건 협의할 거리가 그만큼 많기 때문”이라며 “(기존 입장만 고집해) 아예 협의가 안 되면 벌써 돌아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북핵 6자회담 거간꾼 역할을 하는 중국이 북한에 양보를 권하고, 북한이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협의가 길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부상 일행은 13일 평양으로 돌아갈 것으로 알려졌다.
유연한 입장은 6자회담을 재개하면서 동시에 평화협정을 논의하고, 우선 상징적인 대북제재 해제에 나서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중국은 춘제(春節·설) 연휴가 지난 뒤 북한과의 협상 결과를 한국 미국 등 회담 당사국들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또 북한을 제외한 5자간 협의가 끝나면 김 부상 등 북한 측 대표가 미국을 방문해 북·미 간 양자협상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부상의 3월 중 방미 전망도 이런 차원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11일(현지시간) “다른 만남을 배제하지는 않는다”면서도 “북한과 가질 다음 만남은 공식적인 6자회담을 통한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현 시점에선 확실한 신호를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린 파스코 유엔 사무총장 대북특사는 12일 3박4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평양을 떠나며 “북한과의 회담에 매우 만족해 한다”고 평가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