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 미등록계좌에 5800만원 납부”… 정진후 위원장 등 전교조·전공노 269명
입력 2010-02-12 16:59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1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조합원 269명이 민주노동당의 미등록 계좌에 5800여만원을 납부한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다른 조합원 20여명도 미등록 계좌에 당비를 낸 단서를 잡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2006∼2009년 정진후 전교조 위원장 등 전교조 및 전공노 핵심 간부들을 포함해 조합원 269명이 민노당의 미등록 계좌에 5800여만원의 당비를 자동이체(CMS) 방식으로 지원한 증거를 확보했다.
경찰은 이들 외에도 당비를 지원한 조합원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CMS계좌의 입금 내역을 확보할 예정이다. 경찰은 지난해 말부터 해당 계좌의 입출금 내역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지만 입금 내역 확인은 두 차례 기각됐다.
경찰은 또 민노당의 미등록 계좌에서 빠져나간 10억원 중 일부가 강기갑 민노당 대표 등 전현직 의원들의 후원금으로 입금된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강 대표 등이 돈을 받은 계좌가 선관위에 등록된 계좌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선관위에 사실조회를 의뢰했다.
하지만 경찰을 지휘하는 검찰 관계자는 “(강 대표 등이) 선관위 등록 계좌로 돈을 받은 경우 수사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민노당의 CMS계좌에서 곧바로 강 대표 등에게 후원금을 보낸 부분에 대해선 수사가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민노당 관계자는 “후원금이 입금된 의원의 계좌는 모두 선관위에 신고된 공식 계좌인 만큼 문제될 게 없다”고 말했다.
경찰은 시국선언에 참여했다가 전주지법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전교조 지부장 노모씨를 포함해 조합원 182명을 조사했지만 이들은 모두 묵비권을 행사했다. 경찰은 다음주까지 수사 대상 조합원 292명에 대한 소환조사를 마칠 방침이다.
김경택 모규엽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