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적으로 당론 정하고 그에 따라야
입력 2010-02-12 16:31
민족 최대의 명절 설 연휴가 시작됐다. 오랜만에 가족, 친지들을 만나 이야기꽃을 피울 포근한 고향 모습이 눈에 선하다. 가족 대소사에서부터 여러 얘기가 오가겠지만 올 설 최고의 공통 화두는 단연 세종시 문제가 될 것 같다.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쪽은 이명박 대통령을 두둔하고, 그렇지 않은 쪽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옹호하며 갑론을박할 것이다.
세종시 논란이 불거진 지 반년이 다 돼 간다. 하지만 돌파구는 여전히 보이질 않는다. 이 문제를 풀어야 할 여권에 그걸 기대하기란 현재로선 난망하다. 해결은 고사하고 상황이나 악화시키지 않으면 그나마 다행이다. 친이, 친박으로 패가 갈린 여권은 국회 대정부질문 등을 통해 연일 대립각을 세우더니 급기야 ‘강도론’을 놓고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정면충돌하는 험악한 장면까지 연출했다. 그것으로도 성이 안 차 ‘사과해라’(친이) ‘못하겠다’(친박)며 다시 얼굴을 붉혔다. 정치력과 리더십이 부재한 탓이다.
언제 끝날지 모를 난타전에 국민들은 지쳤다. 나라가 조용해지려면 가부간에 빨리 결판을 내야 한다. 그게 국정을 책임진 정부·여당의 올바른 자세다. 시간을 끈다고 해결될 성질이 아니다. 시간표를 국민 앞에 제시하고 결과가 수정안으로 결정되든, 원안으로 결정되든 그에 따르겠다는 원칙을 밝히는 것이 문제 해결의 지름길이다.
그런 점에서 어제 이 대통령이 한나라당 신임 당직자 조찬 간담회에서 한 발언은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 대통령은 “당이 중심이 돼 결론을 내렸으면 한다. 개인 생각이 달라도 당에서 정해지면 따라가는 것이 민주주의이며, 마음이 안 맞아도 토론을 해서 결론이 나면 따라가야 한다”고 민주적 방법을 통한 당론 결정을 주문했다.
그런데도 당론 변경을 전제로 한 토론엔 응할 수 없다는 친박계 태도는 민주주의 원칙에 반할 뿐 아니라 세종시 문제 해결에도 하등 도움이 안 된다. 이 문제로 더 이상 골치 아프지 않는 것이 국민이 바라는 올 설 최고의 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