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첫 고교선택제… 10명중 8명 희망高에 들어갔다
입력 2010-02-11 18:12
9만475명 배정 분석결과
서울 지역 고교 입시에서 올해 처음 도입된 고교선택제를 통해 예비 고교생의 10명 중 8명 이상이 희망한 학교에 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학교군이나 다른 자치구 소재 학교에 배정된 학생도 전체의 20%가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교육청은 11일 이 같은 내용의 2010학년도 후기 고등학교 입학예정자 9만475명의 배정·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0명 중 8명 이상은 ‘희망 고교’로 배정=고교선택제는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을 넓혀주고 학교 간 경쟁을 유도해 교육의 질을 끌어올리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된 제도다. 학생들은 지난해 12월 서울 전체 학교에서 2곳(1단계), 거주지 학교군에서 2곳(2단계)을 선택해 지원했다.
시교육청이 이날 내놓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체육특기자 등을 제외한 일반배정 대상자 8만8906명 중 희망 고교에 배정된 학생은 7만4816명(84.2%)이었다. 나머지 15.8%인 1만4090명은 거주지 학군에 강제 배정됐다. 이는 시교육청이 지난해 4월 발표했던 모의배정 때(81.5%)보다 2.7%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타 학교군이나 타 자치구 학교로 진학한 학생 숫자도 적지 않았다. 정원의 20%를 추첨 선발하는 1단계에서는 타 학교군을 지망한 학생 1만2824명 중 24.9%(3199명)가 희망학교로 가게 됐다. 통학편의 등을 고려해 전체 정원의 40%를 추첨 배정하는 2단계를 통해서는 타 자치구 학교를 지원한 학생 1만2700명 중 37.4%(4744명)가 거주하는 자치구가 아닌 학교에 진학했다. 시교육청은 “1∼2단계에서 종전 거주지 중심의 강제배정 방식으로는 진학할 수 없었던 지역에 지망학생의 20∼30%가 배정됐다”고 밝혔다.
◇원안 바뀌면서 선택권 위축…선호학교군 진입장벽도 문제=시교육청은 예비 고교생의 84.2%가 지망 학교에 갈 수 있게 됐다는 점을 근거로 “성공적인 결과”라고 자평했다. 하지만 이는 고교선택제 시행 직전인 지난해 12월 완전추첨 방식이던 2단계 배정 방식을 통학 거리 등을 고려한 조건부 추첨 방식으로 바꾸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지적도 있다. 시교육청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교선택권 행사를 위축시키면서 학생들에게 ‘무리한 선택’을 하지 말도록 사실상 요청한 셈이기 때문이다.
강남 등 선호학교군의 진입 장벽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문제다. 예컨대 1단계 지원 경쟁률에서 강남(6.2대 1), 북부(5.6대 1), 강서(5.4대 1) 학교군은 경쟁률 1∼3위를 차지했지만 타 학교군 학생들이 배정된 비율은 각각 15.5%, 15.3%, 15.5%로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시교육청이 학군별로 100명씩 총 1100명에게 학교선택 기준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특성화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27%)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