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조원 붓고도 더 나빠진 한강 수질
입력 2010-02-10 18:16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의 식수원인 한강의 수질이 해마다 악화되고 있다고 한다. 시민들은 한강 수질이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웬 날벼락 같은 이야기인지 의아해서 말문이 막힐 지경이다.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팔당댐과 서울시내 한강 하류의 주요 수질 지표가 3년 연속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팔당댐1 측정 지점(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의 연평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4.4ppm으로 2006년 3.3ppm, 2007년 3.9ppm, 2008년 4.1ppm에 이어 3년 연속 증가했다. 또 다른 주요 지표인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도 2005년 1.2ppm, 2006∼2008년 1.5ppm에 이어 지난해에는 2.2ppm에 이르렀다. 서울시내 한강 하류 지점에서 측정한 하천 수질은 더욱 나빠 잠실대교 이하는 수영 등 물놀이도 할 수 없는 3급수 수준이라고 한다. 특히 팔당호에서 행주대교에 이르기까지 대장균 오염이 심각해 선진국 기준으로는 상수원으로 아예 쓸 수 없는 수준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환경부는 2015년까지 한강 하류의 수질을 2급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수질개선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0년 이후 한강 수질개선에 쏟아 부은 돈이 20조원을 넘는데도 수질이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데 그런 목표가 달성되기를 기대해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다.
수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나빠진 데는 원인이 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수도권의 과도한 개발이 문제라고 말한다. 우후죽순 들어서는 아파트에다 한강 주변의 음식점, 호텔, 휴양지 등이 주범이라는 것이다. 물론 서울시와 경기도 등 자치단체가 연관된 문제겠지만 결과가 이렇게 된 이상 환경부의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것 조율하라고 장관이 있고 국무회의에 참석하는 것 아닌가.
4대강 사업 환경영향평가도 부실하거나 수치가 조작됐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환경부가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차라리 국토해양부와 합치라는 비아냥도 있지만 환경부가 점점 국민의 신뢰를 잃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