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설 연휴 앞두고 ‘세종시 여론전’ 격돌

입력 2010-02-08 18:40

야권, 총리 해임안으로 ‘선공’-친이, 국민투표 카드로‘역공’

여야가 세종시 여론의 최대 분수령이 될 설 연휴를 앞두고 각각 다른 카드로 승부수를 띄웠다. 여당은 ‘국민투표’를, 야당은 ‘정운찬 총리 해임안’을 내밀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진보신당 등 야 4당 대표는 8일 정운찬 국무총리 해임건의안을 공동 발의키로 합의했다. 자유선진당도 동조하고 있어 해임건의안은 이르면 11일 제출될 것으로 보인다.

야권은 해임안 제출로 한나라당 내부 갈등이 심화될 뿐만 아니라 설 연휴 ‘정운찬 무용론’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성은 떨어진다. 당장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정략적인 해임안의 본회의 안건 상정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오는 25, 26일 본회의가 예정돼 있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본회의에 해임안이 상정되지 않을 경우 자동 폐기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해임안은 본회의에 보고된 후 72시간 이내에 무기명 표결하지 않을 경우 자동 폐기된다. 여기에다 민주당은 해임안 처리의 ‘캐스팅보트’를 쥔 친박계로 정국 주도권을 넘겨줄 수 있다는 점을, 친박계는 총리 해임안과 세종시 수정안 반대 표결 모두 야당과 행동을 같이 하는 점을 부담스러워한다.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해임안 자체에 관심없다”고 일축했다.

야권의 총리 해임안에 맞서 여권 내 친이계는 세종시 수정법안에 대한 국민투표와 당론변경을 위한 자유투표 등 ‘타협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전날 심재철 의원의 국민투표 제안에 이어 정병국 사무총장은 이날 “국민투표·자유투표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주류계 일각에선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한 국민투표안을 아예 6·2 지방선거에 걸어 국민적 심판을 받자는 의견도 제시한다. 이는 세종시 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빨리 털어내자는 ‘출구론’에 입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국민투표나 국회 본회의 무기명 투표 실시 주장에 대해 “당 일부 의원들이 사견을 전제로 여러 이야기를 하고 있으나 이를 공식적으로 검토한 바 없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세종시와 관련해 정부의 입장이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밝혔다. 정 총리도 이날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 민주당 이용섭 의원이 세종시 수정안 국민투표 가능성을 물은데 대해 “정부는 수정법안의 국회 제출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국민투표를 검토해본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