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소마트서도 위해상품 차단
입력 2010-02-08 01:01
대형 마트에 이어 중·소형 마트에서도 올 하반기부터 불량식품이 발견 즉시 ‘퇴출’된다.
서울시는 중앙정부의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에 중소 규모의 마트를 연결해 이들 매장에서도 불량식품이 판매되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현재 환경부·식품의약품안전청·지식경제부가 운영 중인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은 가공식품, 영·유아용품, 완구류 등의 안전성 검사에서 위해성이 판정된 상품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대형 마트의 금전등록단말기(POS)로 전송하고 있다. 예컨대 불량품의 바코드가 POS에 찍히면 경고음이 울리면서 결제가 되지 않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인터넷 전산망이 확보된 대형 유통업체에만 적용되고, 개인 사업자가 운영하는 중·소 상점까지는 연결이 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을 시 정보망인 ‘식품안전정보 시스템’에 연계하고 이를 다시 인터넷이 깔려 있는 중소 마트의 POS까지 연결할 계획이다. 즉 시가 중앙정부로부터 위해식품 정보를 받아 중소 마트에 전달해 주는 것.
이에 따라 우선 인터넷과 POS 시스템을 갖춘 중소 식품마트 100곳을 선정해 올 하반기부터 시범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POS 시스템은 갖췄으나 인터넷망이 깔리지 않은 영세 슈퍼마켓 등은 예산을 확보해 사업 대상에 편입시킬 예정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불량식품 유통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시에도 불량식품 정보가 즉각 통보돼 회수 조치가 빨라진다.
시는 중소 상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식품 차단 인증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진일 시 식품안전과장은 “대형 마트는 기업 이미지 때문에 위해상품 정보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만 동네 슈퍼들은 상대적으로 둔감했다”며 “이 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이 마음 놓고 식품을 구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