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청원 통합’ 정부가 나섰다

입력 2010-02-07 19:25

행정안전부가 충북 청주·청원 행정구역 자율통합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이달곤 행장부 장관, 장태평 농수산부 장관, 이만의 환경부 장관, 임채민 지식경제부 1차관, 최장현 국토부 2차관 등은 6일 충북도를 방문해 ‘청주·청원 통합과 상생발전을 위한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 장관은 이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8일부터 청주시의회와 청원군의회의 의견수렴을 거치겠다”고 말했다. 또 “지방선거 일정과 국회가 개원돼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청주·청원 통합 특별법을 제출하는 데 2주간의 시간이 남았다”면서 “그동안 여러 절차가 진행해 왔기 때문에 이제 지방의회 의견수렴만 남았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2주간의 시·군의회 의견수렴 기간이 청주·청원 통합 여부를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합의 열쇠를 지고 있는 청원군의회가 이 장관 등과의 간담회도 거부한 채 자체 회의를 갖고 통합 반대의사를 분명히 밝혔기 때문에 그동안의 입장을 번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1994년과 2005년 두 차례 통합이 추진돼 주민투표까지 갔지만 청원군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청원군의회가 반대 입장을 고수할 경우 정부가 청주·청원 통합 특별법을 국회에 제출하는 강경 수순을 밟을 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국회와 논의해야 하겠지만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당 지자체 의회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특별법을 강행할 경우 정부가 내세웠던 자율통합의 취지가 훼손될 뿐 아니라 국회통과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정부가 이날 발표한 담화문에는 청주·청원 통합시 10년간 2523억원의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각종 예산을 우선 배정해 이곳을 인구 79만여명의 ‘중부권 제1의 기초자치단체’로 육성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청주에 비해 규모가 작은 청원군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통합시의 4개 구청을 청원군 지역에 배치하는 방안도 발표됐다. 이밖에 청주 테크노폴리스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창 과학산업단지를 연계한 ‘첨단 생명의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 생산·가공·판매·연구개발이 연계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의 대상지역을 선정할 때나 고품질 쌀·원예·과실 브랜드 육성사업 대상자를 뽑을 때에도 가점을 부여하는 등의 지원 방안이 제시됐다.

청주=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