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 24시간 모니터링… 정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예의주시

입력 2010-02-07 21:52

정부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 확산에 대비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7일 ‘일부 유럽국가 재정위험 관련 영향과 대응방향’이란 자료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 일부 유럽국가의 재정위기가 미치는 직접적인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재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국제금융센터와 함께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가 국제금융시장과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따라 필요하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 및 관련기관과 함께 국내외 금융시장 및 주요국 반응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이상 징후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신용평가사, 해외투자자 등에게 우리 경제와 금융상황을 발 빠르게 전달해 불안심리 조성을 사전에 방지하기로 했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이와 관련, 오는 10일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문제, 미국과 유럽의 높은 실업률, 유럽 5개국의 재정적자가 변수”라며 “우리의 선택이 복잡해지고 있어 정작 어려운 것은 올해부터”라고 말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여야 의원들도 본보와 가진 설문조사에서 윤 장관이 올해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 출구전략, 일자리 창출과 함께 국가 재정 건전성 관리를 꼽았다.

윤 장관은 또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정년 연장 문제와 관련,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용을 연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임금피크제를 통해 고용연장 효과를 가져오되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이어 “많은 공공기관이 연봉제를 시행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면이 있다”며 “연봉 중 기본연봉보다 성과연봉을 확대해야 제대로 된 연봉제가 되고 고성과자와 저성과자의 연봉 차등 폭이 20∼30% 이상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최근 논란을 빚은 KB금융지주 회장 인선 문제와 관련, “관 출신이 가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