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우리가 시대 인식 뒤따르지 못하는 것 아닌지”

입력 2010-02-05 18:34

이명박 대통령이 5일 한동안의 침묵을 깨고 세종시에 대한 생각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시·도지사 오찬에서 수정안 협조를 당부한 이후 세종시에 대해 언급을 자제해 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세종시라는 단어는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으나, 이를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많이 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 업무보고 마무리 발언에서 “우리는 우리끼리 다투며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세계와 경쟁하는 시대에 인식이 뒤따르지 못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세종시 문제가 지역간, 여·야간, 여·여간 갈등으로 번진 것에 대한 강한 우려다.

이 대통령은 이어 “원래 경상도라는 지명은 경주와 상주,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에서 따왔다”며 “그러나 한때의 결정 때문에 (크게 흥했던 지역의) 발전이 지체됐다”고 설명했다. 일제 때 경북 상주시가 경부철도가 지나가는 것을 반대했던 점도 예로 들었다. 이 대통령은 “상주 등의 경우 과거에 ‘시끄러운 철도가 우리 지역을 지나가서는 안 된다’고 해 (철도가) 다른 곳으로 돌아갔다”면서 “한때의 결정 때문에 발전이 지체됐다”고 말했다. 세종시 수정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충남도민들에게 ‘현명한 선택’을 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또 “혹시 우리가 지금 정치적 이해관계에 얽혀 그때와 같은 전철을 되풀이하고 있지 않나, 이러다 20∼30년 후 대한민국이 낙후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균형 발전에 대한 해석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균형 발전이란 기업이 올 수 있도록 인프라를 깔아 주는 것이다. 인프라만 제대로 깔아 주면, 그래서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업은 어느 지역이든 가게 돼 있다”고 했다. 부처와 기업, 시설들을 지역별로 나눠주는 것이 균형발전이 아니라, 인프라를 조성하고 기업들이 입주해 지역이 발전되는 게 균형 발전이라는 의미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최근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이 (세종시) 법의 취지”라고 말한 것에 대한 반론 성격이 짙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