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식 구조조정 학문 자율성 훼손”… 중앙대 교수진 독자 계획안 발표
입력 2010-02-03 18:50
중앙대 교수들이 대학본부가 추진하는 학문단위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독자적인 계획안을 발표했다. 학교 개혁을 둘러싼 중앙대 내부 갈등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중앙대는 지난해 12월 발표된 대학본부 안과 계열위원회 안을 협의해 다음달 말 구조조정안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중앙대 평교수 30명으로 구성된 계열위원회는 3일 현행 18개 단과대, 77개 학과를 11개 단과대, 51개 학과 및 종합예술원으로 재편하는 구조조정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는 대학본부가 제시한 10개 단과대, 40개 학과로의 구조조정안보다 존속 단과대와 학과 수가 많은 것이다. 계열위는 지난해 3월부터 11개월 동안 교수와 학생의 의견을 받아 계획안을 마련했다.
계열위는 대학본부가 계획한 책임부총장제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고 학부제 등을 통한 모집단위 광역화도 시간을 두고 제한적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계열위는 본부 안이 효율만 강조할 뿐 시대역행적이라고 주장했다. 기초학문을 도외시한 행정편의적 통폐합이라는 것이다. 계열위 회장인 방효원 의학부 교수는 “기업식 구조조정으로 행정 효율성은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학문의 자율성은 크게 훼손된다”고 말했다.
중앙대 대학본부는 총학생회와도 갈등을 겪고 있다. 대학본부는 총학생회가 주관하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올해부터 본부가 맡겠다고 밝혔다. 또 재단과 총장을 비판한 기고문과 시사만화를 실은 교지 ‘중앙문화’의 예산을 올해부터 전액 삭감했다.
총학생회와 학내 언론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학교가 학내 소통을 보장해야 할 의무를 저버렸다”고 주장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