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차로 질서 지키기는 國格의 기초다

입력 2010-02-02 19:26

녹색신호만 믿고 정체된 교차로에 무턱대고 진입하는 교차로 꼬리물기에 대해 경찰이 집중단속을 시작한 1일 전국에서 924건이 적발됐다. 적색신호로 바뀐 뒤 교차로에 진입하는 신호위반 1282건을 합하면 교차로통행방법 위반은 모두 2206건에 이른다. 위반 차량이 많은 것 같지만 단속 실시 전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것이라 한다. 주요 상습정체 교차로에 집중단속을 알리는 플래카드를 걸어놓고 캠코더와 디지털 카메라를 든 경찰관들이 배치되자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신호를 잘 지켰다는 것이다.

신호가 바뀌었거나 곧 바뀔 것을 알고서도 앞차를 따라 교차로를 통과하려다 다른 방향 차량의 교통을 막는 얌체 차량들은 시내 교통정체의 주범이다. 전국의 상습정체 교차로는 396곳이나 된다. 차량이 몰리고 시간을 다투게 되는 출퇴근길의 교차로 정체는 일상적인 문화가 되었다. 국민소득으로 보나 OECD 회원국인 나라의 격으로 보나 이제는 사회적 고질인 조급증을 탈피할 때도 되었건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정작 ‘빨리빨리’여야 할 후진적 운전문화 개선은 느림보다.

은행이나 관공서 창구 앞에서 앞을 다투어 손 내밀거나 줄을 섰더라도 새치기를 하며 자기 욕심을 앞세우던 풍경을 기억할 것이다. 그런 무질서가 사라진 게 불과 30년 안팎이다. ‘발명품’이라고 할 만한 번호표 발급기가 도입되고 나서다. 교통질서의 번호표에 해당하는 게 무인 단속카메라이지만 역할에 한계가 있다. 경찰이 2월과 3월 두 달 동안 벌이는 집중단속은 기계가 해결하지 못하는 운전자들의 의식을 겨냥해 벌이는 계몽성 캠페인이라 하겠다. 기초질서를 잘 지킬 때 국격도 높아질 것이다.

운전자들만 탓해선 안 된다. 신호체계와 횡단보도, 정지선 등을 현실에 맞게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신호등을 정지선 앞쪽으로 옮기는 방안도 비용이 많이 든다고 외면할 게 아니다. 막대한 교통혼잡비용을 줄이고 인명을 보호할 수 있다면 교통 인프라를 개선하는 게 경제적이다. 차종에 따라 3만∼5만원에 불과한 범칙금도 운전자들이 부담을 느끼도록 최소 3배는 인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