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물가’ 다시 급등… 주춤하던 생필품 52개 품목 올 3% 넘게 가파른 상승

입력 2010-02-02 21:53


‘MB물가의 공포가 돌아왔다(?)’

설을 앞두고 ‘MB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MB물가란 2008년 3월 현 정부 출범 직후 이명박 대통령이 “서민에게 필요한 생필품 50여개 물가를 집중 관리하라”는 지시에 따라 라면, 빵, 대입학원비 등 52개 주요 생필품 가격을 토대로 만들어진 ‘체감’ 소비자물가 지표다.

금융위기가 정점으로 치달았던 2008년 3분기 7% 후반으로 치솟았던 MB물가는 지난해 중순 마이너스대로 급락했다가 올 들어 다시 3% 중반으로 올라섰다. MB물가의 가파른 상승행진에 정부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MB물가 상승곡선 시작됐나=2일 본보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조사 자료를 토대로 지난 1월 MB물가지수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상으로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문제는 지난해 말 이후 진행된 가파른 상승속도다. MB물가는 지난해 6월 전년 같은 달 대비 -0.7%로 일시적 역전현상을 보인 후 1% 내에서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1.8%, 12월 2.9%로 급등한 후 올 들어서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MB물가지수를 구성하는) 52개 품목 가운데는 변동성이 큰 소비제품이 많이 들어가 있다”며 “석유제품의 영향과 계절적인 요인도 크지만 설을 앞두고 대규모 수요가 겹쳐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사전적인 안정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품목별로는 파 값이 전년 대비 30% 올랐고 쇠고기(국산:20.8%), LPG(취사용:14.8%), 샴푸(7.3%)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정부, 공공요금 억제…사전관리 강화=설을 앞두고 서민 체감도가 상대적으로 큰 품목 가격이 들썩이자 정부도 대응수위를 높이고 있다. 올해 공공요금 인상압력을 최대한 억누르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조사를 통해 시장의 부당 가격인상을 사전에 차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과천청사에서 허경욱 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민생안정차관회의를 통해 설 성수품뿐 아니라 농축수산물, 석유제품, 공공요금 등 전 부문에서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공공요금의 경우 공급자인 공기업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해 인상 최소화 또는 동결을 유도키로 했다. MB물가를 구성하는 버스·지하철·택시요금, 상·하수도와 도시가스 등 지방 공공요금도 지방자치단체의 안정화 실적과 재정지원을 연계하는 등 안정화 유인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소비자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필품 가격정보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을 이용한 공개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대상품목도 오는 4월까지 80개로 늘리고, 대상판매점 역시 135개로 확대해 소비자를 통한 가격 감시도 강화한다.

다른 재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생필품 가격관리의 전면에 나설 수는 없다”며 “시장의 가격결정 기능을 존중하되 정부 선에서 할 수 있는 수단은 최대한 동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