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치’ 정세균… “일자리 우선” 매주 정책 제시키로
입력 2010-02-02 21:55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생활 정치 행보로 정책 지향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정 대표는 2일 오전 라디오 방송된 정당대표 연설에서 “정부는 모든 정책을 일자리 중심으로 집행한다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성장의 중심축을 수출 대기업이 아닌, 내수 중소기업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주 ‘뉴민주당 플랜’ 1호로 영·유아 무상교육 등을 담은 교육정책을 발표한 바 있는 정 대표는 앞으로도 환경·에너지, 복지 등 7대 핵심정책을 1주일 단위로 제시할 예정이다.
당내 현안도 설 전에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이날 당무위원회는 지난 연말 노동조합 관계법 개정안 처리와 관련, 추미애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에 대한 징계를 ‘2개월 당원 자격정지’로 최종 결정했다. 당 윤리위원회의 ‘1년 당원 자격정지’ 처분보다 크게 감경된 것으로, 정 대표의 의중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추 위원장이 6월 지방선거와 7월 전당대회에 출마할 수 있는 길은 열리게 됐다.
여기에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정동영 의원 복당 문제도 오는 9∼10일 중 당무위원회를 열어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1월 조기 복당을 원했던 정 의원 측과 조기 복당 반대파의 입장을 모두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하지만 정 대표의 최근 행보에 대해 곱지 않은 시각도 있다. 일각에선 4대강 예산 전쟁 실패로 여당과의 전선을 만드는데 실패한 데 이어 세종시 수정안 등 산적한 현안을 뒤로 하고 생활정치 행보를 이어가는 것은 야당의 선명성 포기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반면 2012년 총선 때 지역구(진안·무주·장수·임실군) 불출마 입장을 밝힌 정 대표가 본격적으로 자기만의 색깔로 승부수를 띄웠다는 분석도 있다.
‘단식, 의원직 사퇴, 장외투쟁’으로 일관했던 지난해 대여 투쟁에서 큰 실익을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6·2 지방선거에서 수도권 중도층의 표심을 얻기 위해서는 투쟁일변도보다는 ‘대안정당’ 이미지 구축이 시급하다는 현실적인 계산을 담았다는 것이다. 정 대표의 한 측근은 “생활정치는 국민들 피부에 와 닿는 구체적 정책을 통해 민심을 파고들겠다는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필승카드”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 대표에겐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승리를 위해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이라는 또 하나의 난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참여당 창당 후 첫 대면을 가진 정 대표와 참여당 이재정 대표와의 시각차는 컸다. 정 대표는 참여당 창당에 대해 “국민은 민주개혁진영이 사분오열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할 수 있다”고 우려한 반면, 이 대표는 “민주세력 확장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