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세입자에 ‘순환용 임대주택’

입력 2010-02-02 00:29


세입자들이 재개발 완료 때까지 이사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순환용 임대주택’이 올해 서울에 처음 공급된다.



서울시는 재개발구역 내 저소득층 세입자를 위한 ‘순환용 임대주택’을 올해 500가구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최대 5000가구가량 공급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순환용 임대주택은 재개발구역 인근에 미리 주택을 확보해 세입자들에게 임대, 재개발 기간 중 이사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거주토록 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재개발 임대주택은 재개발구역 내 건립돼 재개발이 끝나야 입주가 가능했다. 그런 만큼 재개발기간 저소득층 세입자들의 이주 부담이 커 조합과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시는 재개발구역 인근의 재개발 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을 매입, 서울의 도심·동북·동남·서북·서남권 5개 권역별로 600가구씩 총 3000가구를 2015년까지 공급할 계획이다. 여기에 의정부와 안양, 위례신도시, 하남 등 대규모 택지사업구역 내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물량(2000가구)을 순환용 임대주택으로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순환용 임대주택은 연간 500가구 범위에서 공급되며, 올 4월 처음 공급될 전망이다. 재개발조합이 시에 신청하면 자치구가 저소득 세입자 순으로 공급하게 된다.



입주자는 임대주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 세입자 중 도시근로자 가구별 월 평균소득 70% 이하이면서 신청 전 2년 이상 거주한 주민으로 제한된다.



임대료는 기존 재개발 임대주택과 마찬가지로 평균 보증금 912만원에 월 12만원 정도로 책정됐다.



시는 순환용 임대주택을 통해 저소득 세입자의 주거 안정을 돕는 한편 원주민 재정착률 증가, 인근지역 전·월세난 완화, 원활한 재건축 사업 진행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효수 시 주택국장은 “순환용 임대주택은 ‘용산 참사’를 계기로 지난해 말 시행령을 통해 법제화가 이뤄졌으며, 서울시가 전국 지자체 중 처음 도입하는 것”이라며 “물량 배정을 차별화해 조합이 적극적으로 세입자 보상 및 이주 대책을 마련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