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주류, 세종시 수정안 속도조절?
입력 2010-01-31 18:46
임시국회서 쟁점화 피해보려 공격적 발언 자제
여권 주류가 세종시 수정안 추진과 관련해 속도 조절에 나섰다. 적어도 오는 10일 끝나는 2월 임시국회 대정부 질문 때까지는 물론이고 2월 임시국회가 끝나는 30일까지 수정안 문제가 더 이상 쟁점화되지 않도록 공격적인 발언을 자제할 방침이다.
최근까지도 ‘수정안 전도사’로 활약해 온 친이명박계 장광근 사무총장은 31일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가 다 확인했는데 친이계 의원은 전부 대정부 질문에서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최대한 목소리를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특히 당 내부(친박근혜계)를 자극할 말은 일절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도 지난 29일 대정부 질문에 나서는 의원들과의 비공개 회동에서 “친이계는 야당의 세종시 공세를 반박하는 데만 주력하고, 친박계도 주장은 하되 반드시 절제된 언행으로 질문에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아울러 수정안 당론 변경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권을 가진 안 원내대표는 최근 지도부 회의에서도 “충분한 토론 분위기가 만들어지지 않는 한 세종시 문제로 의총을 소집하지 않겠다. 적어도 2월에는 안 하겠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주류의 이런 전술 변화는 대정부 질문 성격상 답변자인 정부가 수세적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앞서 몇 차례 전례가 있었듯 수정안을 진두지휘해 온 정운찬 국무총리가 답변 과정에서 실수를 하거나 논리적 함정에 빠지는 경우도 우려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대정부 질문을 제대로 방어하지 못할 경우 곧바로 이어지는 설 연휴(13∼15일) 때 민심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일단 ‘무사히’ 넘기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 총리도 주말마다 이어져 온 충청행을 자제하고 대정부 질문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일각에서는 현실적으로 친박계의 동의 없이는 수정안 처리가 불가능한 만큼 양 계파 간 사이가 더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물밑에서 출구 전략을 논의할 여건을 만들어가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그러나 친박계와 야권은 대정부 질문과 상임위 등에서 대대적 공세를 벼르고 있어 친이 주류의 ‘낮은 톤’ 주문은 희망사항에 그칠 수도 있다. 특히 유정복 유기준 의원 등 친박계 의원들은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 등의 논리로 정 총리를 궁지로 몰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은 야권 공조를 통해 이번 임시국회 회기 중 정 총리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