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밥상이 위험하다] 전문가 조언 “잘못된 식생활 개선 국민계도 절실”
입력 2010-01-31 18:19
20∼30대 영양불균형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全)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젊은이들이 ‘제때, 골고루, 적당히’ 먹을 수 있도록 정부, 식품업계 그리고 개인의 노력이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정효지 교수는 “식품업체들이 매출을 늘리기 위해 가공식품의 달고 짠 정도를 점점 높이고 있다”며 “고열량·저영양 식품을 경쟁적으로 생산하는 업체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윤을 추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영선 한국영양학회장은 “국가가 큰 그림을 만들어 국민을 계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지난해 개정한 ‘생애주기별 식생활지침’이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올해 도입한 ‘외식업체 영양표시 의무화’ 등은 최 교수가 주장하는 큰 그림의 하나다. 하지만 최 회장은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보다 구체적이고 정밀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천향대병원 가정의학과 홍성호 교수 역시 “미국 상원은 1977년 만성질환의 원인을 찾기 위해 영양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잘못된 식생활을 개선하면 비만 80%, 당뇨병 50%, 심장병 25%, 암 20%를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면서 “우리 정부도 이 같은 조직을 만들어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인의 노력은 더욱 중요하다. 숙명여대 성미경 교수는 “영양에 대한 인식의 재정립이 시급하다”면서 “‘젊으니까 대충 끼니를 때워도 되겠지’라는 안이한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하루 세 끼, 영양이 골고루 함유된 음식을 먹도록 노력해야 하며 외식을 하더라도 간편함만 찾아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동아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주성 교수는 “식품업체는 조리가 간단하면서도 영양소가 충분한 음식을 개발하고 개인은 간편하다는 이유만으로 영양이 부족한 음식을 먹는 행태를 지양해야 영양불균형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