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10주년 맞는 민노당… 안팎 악재속 의석·지지율 ‘미미’
입력 2010-01-29 18:31
지방선거前 야권과의 연대 시급
민주노동당이 30일로 창당 10주년을 맞는다. 강기갑 대표는 29일 미리 배포한 10주년 기념 인사말에서 “진보정치의 싹을 틔우고 원내 진출을 했으나 내부 분열과 보수정당들에 의해 큰 결실을 이루진 못했다”며 “당원과 국민 여러분께 송구한 마음을 갖고 더욱 분골쇄신하겠다”고 밝혔다. 자축보다는 반성의 분위기가 더 역력했다.
민노당은 2000년 1월 30일 ‘보수정치를 무너뜨리는 거대한 물결’을 선언하며 출범했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20%에 육박하는 정당 지지율로 원내(10석)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18대 들어선 위상이 추락해 현재 의석은 5석으로 반토막 났고 지지율은 5% 안팎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지율 추락은 2008년에 노선 갈등 끝에 스타 의원이던 노회찬, 심상정 두 전 의원이 당을 떠났기 때문이다. 평등파로 분류되던 이들은 진보신당을 세우고, 민노당의 경쟁자로 등장했다.
민노당은 설상가상으로 현재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교직원노조 조합원들의 민노당 당원 가입과 관련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어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두 단체는 민노당 핵심 지지세력이다.
그러나 이런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민노당은 2012년 19대 총선에서 정당 지지율 20%를 회복하고 2016년 20대 총선에서 제1야당, 2017년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또 오는 6월 2일 지방선거에서 야권과의 연대를 추진 중이다. 당 지도부는 우선 진보신당과의 연대를 염두에 두고 있다.
지방선거 후에는 이미지 쇄신을 통해 지지기반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미디어법 투쟁 과정에서 ‘폭력정당’으로 비쳐진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낼 계획이다.
아울러 노동자, 농어민, 영세상인 등을 위한 정책 개발도 강화키로 했다. 민노당 관계자는 “17대 국회 때 고금리를 제한하는 이자제한법 등을 추진해 지지율이 크게 올랐었다”며 “대외투쟁보다는 민노당 특색에 맞는 서민정책 개발에 당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