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문화재 지표조사 일괄 진행… 4대문안 문화유산 체계적으로 보호한다

입력 2010-01-28 22:26

서울의 4대문안 문화유산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된다.



서울시는 각종 도시개발사업으로부터 4대문 내에 있는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4대문안 문화재 종합 보존방안’을 마련, 28일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그동안 개별 사업자가 시행해온 4대문안 문화재 지표조사를 시가 일괄 진행한다. 지표조사는 조선왕조실록 등 옛 문헌과 문화유적 분포지도를 토대로 사업 대상지에 어떤 유적이 매장돼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그동안 사업면적이 3만㎡ 이상이면 사업자가 의무적으로 시행했지만 3만㎡ 미만이면 구청장이 조사를 명령할 수 있게 돼 있어 자치구에 따라 자의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유적이 발견되면 개발 사업이 중단되는 등 사업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됐다.

시 관계자는 “유적이 나오는 걸 우려한 일부 사업자가 문화유산을 훼손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며 “시가 지표조사를 하게 되면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할 수 있고, 사업자는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가 4대문안 문화재 보존·관리에 직접 나서게 된 것은 최근 이 지역에서 조선시대 주요 유적이 잇달아 발굴되고 있어서다.

현재 신축 공사가 한창인 서울 태평로1가 신청사 부지에서는 지난해 11월 보물급으로 평가되는 임진왜란 이전 각종 무기류가 무더기로 출토됐다. 또 신청사 부지 일대가 조선시대 무기류를 제작하던 관청인 군기시(軍器寺) 관련 건물이 있던 곳으로 확인됐다.

4대문안은 서울성곽과 흥인지문(동), 돈의문(서), 숭례문(남), 숙정문(북) 등 4대문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총 면적은 16.9㎢다.

이곳은 조선시대 궁궐을 중심으로 육조거리, 청진동 피맛골 등 각종 저잣거리와 주거지가 밀집한 번화가였다. 서울역사박물관이 2007년 제작한 문화유적분포지도에 따르면 4대문안에는 총 275건의 문화유적이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수정 시 문화재조사연구팀장은 “최근 몇 년간 지하 7∼8m 부근에서 문화유적이 대거 발견되고 있다”며 “지표조사를 통해 문화유산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해 일반에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