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서 1월28일 아프간 출구전략 회의, 탈레반 유화 정책 논의키로

입력 2010-01-27 18:36

장기화되는 아프가니스탄 문제와 테러 기지로 새롭게 부상한 예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국제회의가 영국 주도로 27, 28일(현지시간) 잇따라 런던에서 열린다.

특히 28일 열리는 아프간에 관한 국제회의에서는 이슬람 테러리스트인 탈레반 대원들에 대한 유화정책이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유엔·세계은행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아프간 국제회의는 지난해 11월 브라운 총리와 반 총장이 공동 제안했던 게 계기가 됐다. 아프간 전쟁이 8년 이상 진행되면서 미국 영국 등 참전국의 부담이 증가하고 여론도 좋지 않자 새로운 출구전략을 준비하자는 취지다.

주로 아프간의 안보, 경제개발, 거버넌스(통치체제) 문제가 다뤄진다. 구체적으로 카르자이 대통령이 자신의 정부가 향후 2년간 추진할 실행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참가국들이 검토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6일 보도했다. 프로그램엔 아프간 군 양성 및 경찰 훈련 등 치안 확보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아프간 내부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재정운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조치들도 논의된다.

탈레반 유화책으로는 투항하는 탈레반 대원에게 직업교육과 땅, 가축 등 경제적인 인센티브 제공하는 한편 탈레반 고위 지도자들을 테러범 명단에서 삭제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고 파키스탄 통신사인 APP가 전했다. 생계형 탈레반 대원들을 사회로 복귀시키기 위한 5억 달러 재원 마련도 추진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탈레반 핵심 지도부가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외국군 우선 철수를 고집하고 있어서다. 아프간 정부 관리들의 부정부패도 정책의 효과를 의심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앞서 27일 열린 예멘에 관한 국제회의에서는 가난 탈출 수단으로 알카에다 반군이 생성되는 악순환을 차단하기 위한 빈곤 근절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예멘 정부가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경제개혁 방안, 법·질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패방지 대책이 주로 논의됐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