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해안포 사격 도발] 정부 대응… 추가도발 없다면 실무회담은 진행
입력 2010-01-27 22:15
정부는 27일 오전 9시5분쯤 북한이 해안포를 발사하자 즉각 긴급 안보대책회의를 열었다.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청와대에서 소집한 회의에서 북한의 해안포 발사의도를 분석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숙의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현인택 통일부 장관, 김태영 국방부 장관, 박성도 국정원 2차장, 청와대 외교안보라인 비서관들이 모두 참석했다.
인도를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군의 해안포 사격과 우리 군의 경고사격 소식을 사건 발생 수분 만에 김성환 외교안보수석을 통해 보고받고, 긴급 안보대책회의 소집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서 정부는 북한의 해안포 발사를 명백한 도발 행위로 규정하면서도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되 엄중하고 차분하게 대응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한이 화해 제스처를 취하면서 이 같은 도발을 한 의도와 북한 내 특이 동향 여부 등을 점검했다고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번 사건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긴장이 조성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통일부와 외교부 등 관련 부처도 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가 향후 북핵 및 남북관계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했다.
통일부는 다음달 1일로 예정된 개성공단 실무회담과 후속 군사실무회담, 개성·금강산 관광 재개 실무접촉 등의 개최 여부를 집중논의했다. 그러나 대화 일정을 취소할 경우 북한의 대남 공세에 빌미를 줄 수 있고 남북 간 긴장 수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 북한이 추가도발을 하지 않는다면 예정된 회담 일정은 진행키로 했다.
현 장관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반도 미래재단 출범식에 예정대로 참석해 “정부는 일관된 원칙과 의지를 갖고 남북대화에 임할 것”이라며 “서두르지도 않고 물러서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다음달 1일 개최키로 한 개성공단 실무회담이나 옥수수 1만t 및 손 세정제 지원과 같은 대북 인도적 지원도 예정대로 준비키로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에 과잉 대응하는 것 자체가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대북 민간단체의 방북도 정상적으로 승인됐다. 대북 의료지원 단체인 ‘장미회’ 측은 “의료사업 모니터링 차원에서 관계자 5명이 28일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고려항공 편으로 평양에 들어갔다가 30일 돌아올 예정”이라며 “정부의 방북 승인을 정식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