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대박’ 꿈꾸던 주상복합 애물단지로… 평균 입주율 20∼30%에 그쳐

입력 2010-01-26 22:55

울산의 주상복합건물이 도심지 미관을 훼손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상업 중심지에서 공사가 무기한 중단된 대형주상복합아파트는 도심지 흉물로 변했고 과거 인파로 붐비던 유흥가에서 행인들이 사라지면서 일대 상가들은 불황을 면치 못하고 있다.

26일 울산시에 따르면 2004∼2007년 울산에서 건축허가를 받은 주상복합 건축물은 26개 사업장에 5863가구이지만 이중 6개 사업장(997가구)이 허가 취소됐고 3곳(964가구)은 착공이 되지 않았다.

17개 사업장(3902가구)에서 착공에 들어간 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도 분양률이 낮았다. 9개 사업장에서는 입주가 시작됐지만 입주율이 평균 20∼30%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도심 곳곳에는 공사가 중단된 초고층 건축물 골조들이 흉물로 남아 있다. 또 이미 지어진 주상복합건물도 주변 도시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완공 후 입주가 이뤄지지 않은 텅 빈 주상복합들 때문에 밤이면 도심 곳곳이 암흑천지로 변하면서 활기가 사라지고 상가들은 불황을 면치 못하고 있다.

울산의 상징인 태화강 인근에 들어선 초대형 주상복합들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태화강 경관을 훼손시키는 주범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런 현상은 주상복합을 ‘현대판 로또’로 생각하며 무분별하게 사업을 벌인 사업자와 한탕주의식 투기자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겹쳐 만들어진 합작품이다.

울산의 주상복합들은 분양 당시보다 평균 1억∼2억원 정도 가격이 떨어졌지만 매매가 이뤄지지 않아 부동산 가격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또 자체적인 수요예측 조사도 없이 무더기로 허가를 내준 울산시의 탁상 행정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한 달에 평균 50만∼70만원의 관리비를 낼 수 있는 울산시민은 110만중 1000명도 안될 것”이라면서 “시가 무리하게 사업인·허가를 내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당시 법적으로 문제가 없어서 허가를 내 줄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