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 대장균군 기준 완화에 “안전강화 추세 역행” 논란
입력 2010-01-26 18:17
정부가 수십년간 유지해온 분유의 대장균군 검출 기준을 완화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따르면 검역원은 2008년 12월 ‘축산물의 가공 기준 및 성분 규격’을 개정, 분유에서 대장균군의 검출을 일절 허용하지 않던 것을 ‘1g짜리 5개 시료 가운데 단 1개에서만 대장균군 검출을 허용하되 10마리 이하여야 한다’로 완화했다.
대장균군은 대장균을 포함해 비슷한 유형의 여러 세균을 통틀어 일컬으며, 위생 상태나 청결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세균이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는 “대장균군이 검출됐다면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검역원 관계자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권고 기준에 맞춰 기준을 완화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기준 완화는 식품 안전성 강화 추세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불검출이 원칙이고, 유럽연합(EU)도 대장균군보다 좀 더 넓은 개념인 ‘엔테로박테리아’를 기준으로 삼아 불검출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 이런 조치가 공개되지 않은 채 추진돼 분유업체의 편의 봐주기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김재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