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개성관광 실무접촉 ‘기싸움’

입력 2010-01-25 18:58

北 회담 제의에 정부 “2월 개성서 열자” 수정 제의

정부는 25일 금강산·개성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접촉을 다음달 8일 개최하자고 북한에 수정 제안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정부는 통일부 장관 명의로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김양건 통일전선부 부장에게 통지문을 보내 금강산·개성관광 관련 실무회담을 2월 8일 개성에서 갖자고 제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외곽기구인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가 26∼27일 금강산에서 갖자고 한 실무접촉 일정을 다소 미루고, 장소도 개성으로 바꾼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북한이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과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 등으로 대남 강경 입장을 내놓고 있다”면서 “다음달 1일 개성공단 실무회담을 보고 실무접촉을 열어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미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이번 전화통지문의 북측 수신자 명의를 당초 제안자인 아태평화위가 아니라 노동당 통일전선부로 명시했다.

천 대변인은 “관광 재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변 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필요하고, 이런 문제가 협의되고 보장되기 위해서는 당국간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양건 통전부장이 반관반민 성격의 아태평화위원장도 겸임하고 있지만, 공식 당국인 통전부에서 이번 실무접촉을 맡아 신변 안전 문제를 보장하는 게 보다 타당하다는 판단이다.

실무접촉에서는 관광 재개를 위한 3대 조건인 고(故) 박왕자씨 총격 사망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확고한 신변 안전 보장 조치가 논의될 전망이다. 금강산관광은 2008년 7월 박씨 사건으로 중단됐고, 개성관광은 그해 12월 북측의 육로통행 제한 조치와 함께 중단됐다.

북한이 26일 개최하자고 제안한 남북군사실무회담도 다음달 1일 이후로 미뤄졌다.

국방부는 오전 9시30분쯤 남북군사실무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 명의의 전화통지문을 북측에 보내 “2월 1일 개성공단 실무회담 결과를 본 후 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적절한 시점에 회담 개최 일자를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소식통은 “1일 개성공단 실무회담에서 ‘3통(통행·통관·통신) 문제’에 대한 결론이 난 후 이를 군사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군사실무회담을 여는 것이 순서상 맞을 것 같아 회담 날짜도 특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