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4개 국립대 통합될까

입력 2010-01-25 20:49

정부의 국립대 통합 관련 구조개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부경대가 부산대 부경대 한국해양대 부산교대 등 부산지역 4개 국립대의 대통합안을 제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부산대는 창원대와의 통합을 추진했지만 최근 학생·교수 등의 반발로 유보된 상태고 한국해양대는 목포해양대와, 부산교대는 다른 교대와 통합을 각각 추진하고 있지만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경대는 25일 ‘국립대 구조개혁 대책위원회’를 발족해 즉시 통합, 연합 후 통합, 독자생존 방안 등 3가지 대응전략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대책위는 박맹언 총장을 위원장으로 부총장 2명, 학장 2명, 교수회장, 기획처장 등으로 구성됐다.

부경대는 부산대(1171명)와 부경대(565명), 한국해양대(243명), 부산교대(74명) 등 4개 대학 교수를 다 합쳐야 서울대(2025명)와 비슷한 만큼 지역 국립대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통합을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부경대는 정부의 국립대 구조개혁 추진에 대한 대응전략의 하나로 ‘국립대학 연합대학 구축발전방안 연구보고서’를 마련했다.

보고서는 완전 통합에 앞서 높은 수준의 연합대학 체제가 필요하다고 제안하면서 초기에 강력한 구조개혁이 없으면 통합이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높은 수준의 연합대학이란 연합대학 총장 1인이 전체 대학업무를 총괄하면서 유사·중복 학과 통폐합 같은 구조개혁을 추진하는 체제를 말한다.

보고서는 또 1996년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 간 통합으로 출범한 부경대 사례를 바탕으로 유사·중복 학과 전공 교수 문제는 자연퇴직으로 10년 안에 해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부경대는 오는 28일 부산지역 4개 국립대 기획처장 모임을 갖고 보고서 내용에 대한 설명과 함께 통합을 위한 실무협의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부산대와 한국해양대, 부산교대 관계자들은 “부경대의 보고서와 설명회를 정밀 검토한 다음 통합에 따른 장·단점을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며 “통합안에 대한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